교육 현장의 분열과 갈등이 한 초등학교 교장을 죽음으로까지 몰고 갔지만, 그 이후의 반응들은 더욱 큰 실망감을 안겨준다.
불행하고 비극적인 사태가 발생했는데도 자성과 사과는커녕 언론의 비판적인 보도를 '판.검사 노릇'쯤으로 비난하고, 그 책임을 교장단에 전가하려는 전교조의 태도는 이해하기 어렵다.
"교장이 사과를 하지 못하게 막은 교감과 지역 교장단 때문에 사건이 발생했다"는 전교조의 주장은 무책임할 뿐 아니라 되레 그 책임을 떠넘기려는 의도로밖에 볼 수 없다.
게다가 교육계의 강력한 비판에 대해서도 '개혁을 바라지 않는 수구세력의 총공격'이라고 대응하는 것은 자성과는 거리가 멀다.
더구나 '마녀 사냥식 여론몰이'라고 일부 언론에 화살을 돌리며, 비판받는 상황을 투쟁의 또다른 계기로 여기는 자세는 수사에 영향을 미치려는 '정치 공세'로 보이게 하기도 한다.
한 교장의 죽음이 전교조의 강력한 압박 때문만은 아닐는지 모른다.
하지만 그가 남긴 메모에는 '공갈 협박'의 정황들이 어느 정도 드러났고, 인터넷을 통한 인신공격을 했던 것도 사실로 밝혀지고 있다.
그렇다면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는 최소한 자숙하는 모습을 보여줬어야 했으며, 스스로 밝혔듯이 "상생과 조화의 새로운 관행을 정착시켜" 나가려는 방향으로 문제를 푸는 자세를 보이는 게 옳았다.
이번 사건의 발단이 된 여교사에 대한 성차별적 업무 강요, 기간제 교사들의 신분 문제 등으로 문제점이 적지 않은 건 숨길 수 없는 현실이다.
심지어 교사들 위에 군림하려 하거나 학교 운영에 전횡을 하는 교장들도 없지는 않을 게다.
이런 문제에 대한 전교조의 개혁 의지는 나무랄 바가 아니다.
교권 신장과 각종 차별 철폐 등 전교조가 그간 어렵게 일구어낸 일들이 적지 않고, 이 같은 기여에 대해서는 누구나 공감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투쟁으로만 해결하려 하거나 '우리만 옳다'는 식의 독선적인 자세를 고집하면 분열과 갈등의 골이 더 깊어질 뿐 아니라 참교육을 흔드는 결과를 부를 수도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교권 신장과 참교육 추구가 지상과제이며, 그런 문제들을 놓고 진지하게 고민하고 투쟁하는 전교조라면 그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
교단보다는 그 밖에서의 투쟁을 하는 '정치성'이 짙다는 인상에서도 자유로워져야 한다.
대화와 교육적인 자세로 모든 문제들을 풀어나가는 미덕이 요구되며, 비판적인 지적과 배척의 분위기로까지 번지는 까닭을 헤아리는 여유도 가져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