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라크 재건 정면 대립

이라크 공격 반대로 미국과 갈등을 빚었던 러시아.프랑스.독일 등 '반전 트리오'국가가 전후 이라크 재건 작업 주도권과 이라크 채권 처리 문제를 두고 다시 정면대립 조짐을 보이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자크 시라크 프랑스 대통령,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는 11일(현지시간)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에서 정상회담을 열고 이라크전 종결 후 유엔이 재건 작업을 주도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으고 이를 수용할 것을 미국에 촉구했다.

시라크 대통령은 "유엔만이 이라크 재건 임무를 맡을 수 있는 정통성을 갖고 있다"며 유엔의 역할 제한을 천명한 미국의 입장에 반기를 들었다.

슈뢰더 총리도 "사담 후세인 정권 몰락 이후 들어설 과도정부는 유엔의 관리를 받아야 하고, 미국은 이 원칙을 수용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이에앞서 미국은 이번 주 초 이라크 재건과정에서의 유엔 역할은 제한돼야 한다고 밝힌데 이어 10일 폴 월포위츠 미국방부 부장관이 이라크 전쟁에 반대한 3국이 전쟁을 반대한 결과에 대해 대가를 치러야 하며 이라크에서 받아야 할 채권을 탕감해야 할 것이라고 밝혀 전후 처리에 강경입장을 드러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 후 러시아는 이라크에 대한 채권포기 요구를 검토할 것이라는 다소 전향적 태도를 보였으나 종전의 유전 개발 계약은 고수할 계획임을 분명히 했다.

한국 기업들이 이라크에서 받아야 할 채권액도 현대건설 11억400만 달러, 삼성물산 1억3천만 달러 등 12억7천만 달러에 달해 국내 업체들도 전후 채권처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편 이라크 전역을 거의 장악한 것으로 전해진 미.영 연합군은 11일 사담 후세인 대통령 추종세력의 최후근거지인 티크리트를 점령하기 위한 마지막 공세에 나서고 있다.

외신종합=박운석기자 stoneax@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