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추모공원' 접점 못찾아

유해 인수 및 장례에 앞서 추모 묘지공원 조성 방안 확정을 요구하고 있는 지하철 참사 희생자대책위는 17일 오후 4시부터 대구시측과 관련 협의를 다시 가졌으나 타협점을 찾지 못하자 시장 면담을 요구하며 18일 오전까지 대구시청에서 대치했다.

대구시민회관에서 시작된 협의를 통해 대책위측은 "수창공원 예정지에 위령탑.전시관 등을 만들되 TV토론을 거쳐 대구시민과 중구민을 대상으로 여론 조사를 해 반대가 많을 경우 묘지는 8개 도심 공원 중 하나에 써도 좋다"고 제의했다.

또 이 일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현지 주민 반대, 법적 제약 등 문제가 발생하면 대구시가 해결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합의문을 작성하라고 요구했으며 그런 후에야 장례절차를 논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책위가 제안한 묘지 조성 대체 도심 공원은 두류.망우.상리.본리.장기.앞산.팔공산.대공원 등이다.

반면 대구시는 "법률 제한때문에 8개 도심공원에도 묘지를 쓸 수 없다"고 거부하고, "추모공원 조성에 2년6개월 이상 걸리는 만큼 장례절차부터 논의하자"고 요구했다.

협의에는 대구시에서 김기옥 행정부시장과 관련 과장 등 4명, 대책위 측에서는 윤석기 위원장 등 6명이 참석했다.

타협이 이뤄지지 않자 양측은 오후 8시10분쯤 부시장이 주재하는 대구시 실국장 회의에 희생자대책위원 4명이 참석해 논의키로 하고 자리를 대구시청으로 옮겼으나 밤 11시30분까지도 의견이 다르자 대화를 중단했다.

이후 대책위원들은 시장을 만나겠다며 30여분간의 실랑이 끝에 시장실로 들어 가 밤을 새웠다.

이창환기자 lc156@imaeil.com

전창훈기자 apolonj@imaeil.com

*중앙지원단 20일 철수

대구지하철 참사 중앙특별지원단은 참사 수습 작업이 정상화된 것으로 판단돼 오는 20일 철수키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특별지원단은 유해 신원 확인, 실종자 인정사망 심사 등이 마무리되고 피해복구 등 수습 활동이 정상화된 것으로 판단되고, 활동 종료도 총리실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망자 117명의 장례.장지 문제, 피해자 보상 등 해결해야 될 현안이 적잖게 남은 상황에서 지원단이 철수를 결정한 것은 조급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강병서기자 kbs@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