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월 두달 동안 전국에서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자가 476명에 이르는 등 올들어 산재피해자가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부 관계자는 "산재사망자 가운데 돌연사 및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자가 급증 추세"라며 "사업장 바깥에서 발생하는 산재가 내부사고를 추월할 지경에 이르러 근로자 스스로의 안전관리 강화가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노동부와 포항지방노동사무소에 따르면 올들어 2월까지 발생한 전국의 산업재해자는 대구.경북지역 41명 등 사망자 476명을 포함해 모두 1만5천299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사망자는 95명이 늘었고 전체 재해자수는 무려 4천명(36. 5%) 가량 증가했다.
노동사무소측은 또 사망 재해자 가운데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241명으로 질병 사망자 235명보다 더 많았으며 특히 뇌출혈, 심장마비 등 뇌심혈관 관련 사망자가 127명이나 됐고 교통사고 사망자도 34명이라고 밝혔다.
이는 진폐(88명), 추락(75명) 등 종래에 많았던 작업장내 돌발사고로 인한 산재사망자는 변화가 적은 반면 과다한 스트레스나 회식 등에서의 음주 등으로 인한 간접재해가 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노동청 관계자는 분석했다.
실제 포항지역의 경우 올들어 사망재해자는 7명이었으나 이중 작업장내 재해는 2건에 그쳤는데, 포항노동사무소 산업안전과 강부원 감독관은 "산재증가를 불경기에 따른 안전관련 투자부족이나 근로자 교육축소로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포괄적 산재적용 추세와 함께 재해 유형도 신종화 경향을 띠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올들어 업무상 질병을 이유로 근로복지공단에서 요양승인을 받은 근로자는 작년보다 245명 늘어난 1천182명이었으며 이중 단순반복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자가 421명으로 무려 56%나 증가, 산업현장에서 이 문제 대비책 수립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