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 배경숙(가명·55·대구 평리동)씨는 이달 초 공공근로를 지원, 소중한 '직장'을 잡았다.
오전 8시부터 철로변이나 체육공원을 돌며 담배꽁초나 휴지를 줍는 현장직이지만, 빗자루를 들며 콧노래를 부른다.
기대되는 월 수입은 54만∼57만원. 구청 사무실이나 골목길을 돌며 발품을 팔아 폐지를 모을 때보다 수입이 2배나 돼 짭짤하다.
배씨는 "중풍에 걸려 누운 남편 대신 구직에 나섰으나 나이가 많아 일자리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였다"고 했다.
공공근로마저 기간이 3개월로 한정돼 있어 그 이후가 걱정된다고 했지만 배씨는 그래도 상대적으로 운이 좋은 편이었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생계가 어려운 퇴직자, 여성 가장, 일용직 근로자 등이 '하루 일자리' 구하기에도 애를 먹고 있는 것이다.
사정이 악화된 것은 올들어 공공근로 사업마저 규모가 대폭 축소됐기때문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지난해 연인원 78만명(노임 242억원)에 이르던 공공근로 규모는 올들어 36만명(94억원)으로 감축됐다.
인원은 46%, 예산은 39% 수준으로 격감한 것. 행자부는 당초 단기 실직자 구제 대책으로 공공근로 제도를 마련했으나 수입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 일부 한계 실업자들의 '반영구적 직장'으로 변질됐다고 판단, 규모를 줄였다는 것이다.
이로인해 저소득층 구직자들은 열악한 근무 여건과 보수를 참아가며 일을 하거나, 간병인·파출부·경비직·주차관리 등 일자리를 얻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으나 여의치 않다고 했다.
지난 2월 섬유회사를 그만 뒀다는 주부 최선자(53·대구 비산동)씨는 "정부에 민원이라도 내고 싶은 심정"이라고 하소연했다.
몇 달 후 큰 아들 결혼식이 예정돼 있고 남편의 건강이 악화돼 일자리를 찾아야 하는 실정이지만 섬유 경기가 나빠 하찮은 일자리조차 구하기 힘들다는 것. 대구의 한 중견업체 관리직원으로 일하다 퇴직했다는 정모(47·북구 침산동)씨도 "생산직·관리직을 안가리겠다고 해도 좀처럼 일을 찾기 힘들다"고 한숨을 쉬었다.
대구 서구청 취업상담실 안현정 주임은 "상당수 생산직 경우 잔업을 포함해 하루 11시간씩 일해도 월급은 남자 70만~80만원, 여자 60만~70만원에 불과하다"며, "저소득층 구직자들이 하루 10~15명씩 꾸준히 찾아 일거리를 구하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대구종합고용안정센터 관계자는 "대기업이 없고 영세업체가 주종을 이루는 대구 경우 일자리의 부익부 빈익빈이 더 심각하다"며, "저소득 구직자들은 각 고용안정센터, 자활후견기관, 복지관, 구·군청 취업 창구 문을 두드리는 수밖에 없다"고 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