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미국방문을 앞둔 9일 "신뢰를 다질 수 있는 정상회담이 되도록 노력하고 그게 성과가 돼 원만한 한미관계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취임후 첫 방미를 앞둔 노 대통령의 발걸음은 가볍지가 않다.
북핵문제 해법에 대한 한미간의 시각차가 상존하고 있는 데다 주한미군 재배치 문제를 포함한 한미간 현안도 녹록치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 대통령은 이날 언론사의 외교.안보 통일분야 논설위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원칙을 합의하는 선에서, 원칙에 대한 신뢰를 확인하는 선에서 욕심을 부리지 않을 것"이라고 담담하게 말했다.
이번 방미의 현안은 북한 핵문제와 한.미 동맹관계 재정립과 경제문제 세가지다.
이 가운데 북핵문제가 가장 중요한 현안이다.
노 대통령은 오는 14일(한국시각 15일 오전)로 예정된 정상회담에서 북한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에 대한 원칙과 공동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단기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물론 전제는 북핵 불용과 평화적 해결이다.
이번 정상회담 결과는 베이징 3자회담 이후 북핵문제에 대응하는 기본방향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부시행정부내 강경파가 회담에서 대북제재방안을 포함한 미국의 대북정책에 노 대통령이 동의해 줄 것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지는 등 한.미간의 막후 힘겨루기 양상도 벌어지고 있다.
그래서 한미정상은 이번 회담에서 북핵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법을 도출하기보다는 평화적 해결에 노력한다는 선의 공동선언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하다.
50주년을 맞은 한미동맹관계의 재정립 문제도 주요 과제중의 하나다.
한미간 현안인 주한미군재배치 문제와 관련, 미국은 서두르고 있는데 반해 노 대통령은 북핵문제 해결이후 논의하자는 기존 입장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노 대통령의 대미관과 대북정책 등에 대한 미국내의 불안감을 떨쳐버리고 한.미 정상간의 신뢰관계를 형성하는 것도 주요 과제중의 하나다.
이에 청와대측은 "노 대통령은 취임후 세차례 부시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통해 신뢰를 쌓아왔다"면서 "노 대통령은 젊고 진솔한 모습 및 민주화된 한국의 이미지를 미국지도자와 미국인들에게 보여줌으로써 한.미간의 전통우호관계를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제문제는 하이닉스반도체 등 특정현안보다는 한국경제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래서 노 대통령은 워싱턴방문 일정 외에는 뉴욕과 샌프란시스코를 잇따라 방문, 미금융계인사와의 간담회를 비롯, 미국의 주요언론과의 회견, 실리콘밸리의 인텔사를 방문하기로 하는 등 경제외교에도 적잖은 신경을 쏟았다.
노 대통령은 "세계의 유력투자가들이 미국에 많이 있는 만큼 그들에게 전달할 주요 메시지는 한반도의 안전"이라며 북핵문제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방미에는 손길승 전경련 회장을 비롯한 재계총수들이 대거 수행하고 나선 것도 주목된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