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김성우 사회2부-못 믿을 농업통계

최근 통계청이 "지난해 말 농가당 부채액이 평균 1천989만8천원으로 1년전에 비해 2.3% 줄어들었다"고 발표하고 "이번의 농가부채 감소는 31년만에 처음"이라며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지만 정작 농민들은 '믿지못할 통계'라며 시큰둥한 반응이다.

우선 통계청이 매년 농가부채액을 산정하는 농가경제조사에서 농가소득의 경우 표본조사수를 과수·채소·특작·화훼·전작·축산 등으로만 분류해 놓고 평균치를 도출하는 방식을 택하는 바람에 신빙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 이같은 수치는 부채가 없는 농가(26%)까지 포함한 전국 농가의 평균치이기 때문에 실제 부채액수가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수억원에 달할 정도의 대규모 시설채소·화훼·축산농가들의 심각한 현실을 제대로 드러내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사실상 농민과 도시근로자와의 가구당 소득격차는 4년전인 1999년 83.6%, 2000년 81.6%, 2001년 75.9%에서 지난해 역시 73%로 더욱 떨어져 '31년만의 농가부채 감소'는 아무런 의미없는 호들갑에 불과한 것으로 방증되고 있다.

선산지역의 농민 김수종(45·쌀 전업농)씨는 "현행 '두루뭉수리식' 농업통계는 농민들의 농가부채 변제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을 뿐더러 믿지도 않는다"며 "잘못된 농업통계는 자칫 농민들의 영농활동에 큰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이에따라 농업통계가 농업의 사회·경제적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영농형태별 농가경제 조사방식을 개선, 표본조사 항목가운데 과수의 경우 사과·배·감귤·감·복숭아 등 개별품목으로 세분화 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게다가 농가 유형도 전업농·부업농·자급농 등 과학적 분석에 따른 다양한 결과치를 토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농림부가 "올해부터 농업통계 조사방식을 현실에 맞게 개선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으니 앞으로 '제대로 된 농업통계'를 기대해 본다.

swkim@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