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하철참사 수습의 최대 걸림돌이 돼 온 사망자 집단 묘원 조성 대상지가 내정됨에 따라 인근 주민 반대 등 또다른 변수가 없으면 장례.보상 등 절차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대구시는 추모사업 추진위가 묘원으로 내정한 삼덕동 118의1 일대가 공원구역이 아닌 등 법률적으로 큰 문제를 갖고 있지 않은 장소라고 판단, 주민 반대만 없으면 묘역 조성 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3일 밝혔다.
범물동 천주교공동묘지 인근인 해당 필지 1만여평은 그린벨트에 속한 사유지로, 행정적 절차에 440여일 등 공사기간까지 포함해 2년 정도 추진하면 묘역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 이에따라 이곳에 몇백평 크기의 묘역을 조성하고 위령탑도 함께 설치하되, 안전교육관은 시민 접근성이 더 높은 다른 장소에 설립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관계자가 밝혔다.
조기현 행정부시장은 "이곳은 인가와 많이 떨어지고 천주교 묘역이 인접해 있는데다 묘역도 200여평이면 될 것인 만큼 인근 주민들이 대승적인 차원에서 수용해 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묘원 입지가 확정되면 남은 유해의 장례를 치르기로 희생자 대책위와 이미 합의했다며 이르면 다음주 중 장례도 치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준비키로 했다고 밝혔다. 보상과 관련해서도 최근 희생자대책위가 손해사정 결과를 통보해 와 이를 검토하기 시작했다며 "보상액 결정에는 유족과의 합의가 원칙이지만 합의가 어려울 경우 법에 따라 집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고산 지역 주민들은 "수성구 어느 곳이든 묘원이 들어설 수 없다"고 반대하고 있으며, 고산지역 추모공원 저지 대책위원회 전원식 위원장은 "오는 7일 오후 월드컵경기장에서 대대적인 주민 궐기대회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해용기자 kimhy@imaeil.com
◈ 추모공원 반대
대구시와 지하철참사 추모사업추진위원회가 합의한 추모공원 조성계획이 주민 반대 때문에 차질을 빚고 있다.
대구 수성구 삼덕동과 범물동 주민들이 2일 주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 반대 서명운동에 나선 데 이어 이 곳이 지역구인 김만제 국회의원도 이날 주민의견을 먼저 수렴하라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김 의원은 성명에서 "지하철 참사이후 사고수습이 하루빨리 이뤄지기를 희망해 왔지만 해당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철저히 배제한 이번 결정에 우려와 분노를 금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추모공원 조성계획의 철회를 요구했다. 또 오는 7일 오후에는 대구월드컵경기장 주변에서 해당 지역 주민 상당수가 참가하는 대규모 집회도 계획하고 있다.
한편 대구시 등은 이날 오전 대구대공원 예정지 와 수성구 범물동 천주교 묘지 사이의 3천~6천㎡ 그린벨트에 추모공원을 조성하기로 합의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