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네티즌의 소리-담뱃값 인상 논란

지난달 23일 김화중 보건복지부 장관은 현재 선진국의 20~25%에 불과한 담뱃값을 30%이상까지 올리겠다고 발표하면서 담뱃값 인상을 둘러싸고 찬반 논쟁이 뜨겁다.

그렇게 되면 현재 한갑에 1천500~2천500원인 우리나라 담뱃값은 3천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네티즌들의 의견을 들어본다.

---값올려 금연유도 발상은 잘못

금연을 권장하기 위하여 담뱃값을 올린다는 것은 참으로 편한 발상이다.

담뱃값을 인상해 금연하도록 하는 것은 세금을 올려 부동산 값 잡겠다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단세포적인 공무원들의 사고다.

담뱃값을 아무리 올려도 담배피우는 사람은 못말린다.

마약처럼 숨어서라도 피우는 것이 담배고, 그만큼 중독성 있는 물질이다.

금연운동은 사회적 분위기와 교육을 통해서 이뤄져야 한다.

한마디 더하면, 담배는 중독성이 있지만 생각만큼 해로운 것도 아닌 것 같다.

노인정에 가 보니까 담배 피우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더 많았다.

역설적으로 말하면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오래사는 것 같던데?

ID 김한우

---'흡연 정당화'설득력 없어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내 몸이니 내 마음대로 한다'면서 자신의 흡연을 정당화시킨다.

'신체의 자기 결정권'은 맞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몇 가지 이유에서 그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첫째, 간접흡연의 피해다.

간접흡연은 수동적 흡연자에게 엄청난 피해를 준다는 점은 이미 널리 알려졌다.

둘째, 2세에게 영향을 주게 된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흡연으로 인한 피해를 사랑하는 2세에게 물려줄 그 어떤 권한도 가지고 있지 않다.

부모된 입장에서 아이에게 그러한 고통을 준다는 것은 부모된 도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셋째, 자세히 생각해보면 흡연은 자기 결정이 아닌 중독이다.

피우면 피울수록 횟수, 양이 늘어나는 중독성 물질이기 때문이다.

ID 이지웅

---마약류 분류 제조 금지해야

국민의 건강을 위해서라면 아예 제조와 판매를 금지해야하는 것 아닌가. 막상 판매는 되는데 건강을 위해서 값을 올리겠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흡연자도 권리가 있다.

좀더 넓게 얘기해서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담배피울 권리다.

흡연실을 따로 만들어서 비흡연자에게 피해를 주지않고 맘놓고 담배피울 수 있게 해야되는 것 아닌가. 여기저기 금연에, 건물전체가 금연이면 흡연자는 죽으란 얘기인가. 담배도 엄연한 기호품인데. 정말 담배가 몸에 좋지 않아서 파격적으로 가격을 인상할 바에야 차라리 마약류로 분류해서 판매, 제조, 유통의 전면적인 금지조치를 취하는게 낫겠다.

ID 강석천

---최고 350만명 끊을 것

담뱃값을 올리면 담배를 끊는 사람이 많다.

이것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모든 나라의 경험이며 동시에 많은 연구결과이기도 하다.

많이 올리면 올릴수록 끊는 사람의 수는 점점 더 늘어난다.

이번에 만일 담뱃값을 3천원으로 올리면 그 간의 연구결과로 미루어 보아 약 30~35%의 흡연자가 담배를 끊을 것으로 예상된다.

무려 300만~350만명이 담배를 끊어 중독의 고통으로부터, 질병의 위험으로부터, 가족의 불행으로부터 해방된다는 이야기다.

흡연자들에게 충고할 유일한 이야기는 이주일씨가 말한 "담배가 맛있습니까? 그거 독약입니다"이다.

ID 김일순

---판매업소 줄이는 게 우선

청소년을 위해서 담뱃값을 인상한다고? 국민의 건강을 위해 금연운동의 일환으로 담뱃값을 올린다고? 진짜 국민을 바보로 알고 하는 소리인가? 청소년들의 흡연을 막으려면 청소년들에게 담배를 팔고 있는 업주들을 강력히 단속하고 엄중한 처벌을 함으로써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군대나 공공기관 등에서 담배를 일절 팔지 않거나 제공하지 않으면 금연인구가 늘어날 것이다.

담배판매업소를 줄이면 원천적으로 흡연인구가 줄 수 있을 것이다.

흡연인구를 줄이겠다고 담뱃값을 올린다는 발상은 진짜 구차한 변명이다.

ID 김승일

정리=최세정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