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사태를 둘러싼 미국과 북한간 대치기류가 급랭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 4월 베이징에서 열린 미국, 북한, 중국간 3자회담 이후 소강상태에 머물렀던 북핵기류가 북한의 다자회담 일축과 미국의 대북압박 강화 등 일련의 맞공세로 접점을 찾지 못한 채 급류를 타고 있다.
북핵사태는 18일 북한당국이 외무성 성명을 통해 부시 행정부를 강력 성토하며 다자회담을 거부한데 이어 부시 행정부 수뇌부는 북핵문제의 유엔 안보리 회부 가능성 등 대북압박 수위를 높여 대치국면으로 다시 돌아서고 있는 듯한 양상이다.
북한은 이에 앞서 당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미국의 봉쇄작전으로 자주권이 침해를 당했을 때 즉각 '물리적 보복조치'로 대응하겠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북핵기류가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폴 월포위츠 미국 국방부 부장관은 이날 의회 증언에서 북한에 강수를 두었다.
월포위츠 부장관은 북한이 한국과 일본을 공격할 경우, 이라크와 아프간에서 세계가 목격했던 바와 같은 엄청난 군사공격력을 포함해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이용해 북한의 공격을 격퇴할 군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맞받았다.
대북 온건파인 콜린 파월 국무장관도 "미국은 북한의 수사적 위협에 굴복하지 않는다"면서 "우리가 북한을 위협하지도 않겠지만 북한이 우리나, 우리의 동맹국들을 위협하는 것도 허용하지 않겠다"고 못박았다.
미국 국무부도 북한의 '물리적 보복조치' 경고를 '호전적 수사'라고 비난하고 그 같은 경고는 북핵 해결에 아무런 기여를 할 수 없다고 일축한 바 있다.
워싱턴 외교가는 베이징 후속회담 방식으로 한국과 일본이 동참하는 5자회담 성사 가능성을 조심스럽게 내다봤다.
한승주 주미대사도 16일 워싱턴 특파원단 간담회에서 "북한은 5자회담을 받든지 안받든지 3자회담을 더는 고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5자회담 성사 가능성에 여운을 남겼다.
그러나 북한측은 18일 외무성 대변인 성명을 통해 "우리는 미국이 표방하는 그 어떤 다자회담에도 더 기대를 가질 수 없게 됐다"며 후속 다자회담 가능성에 쐐기를 박았다.
성명은 "미국의 다자회담 주장은 우리에 대한 고립압살 행위를 가리는 위장물"이라며 "우리는 미국의 대조선 고립압살 전략에 대처한 정당방위 조처로 자위적 핵억제력을 강화하는데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이 성명은 평양당국이 △부시 대통령이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과 가진 정상회담 △미국 주도로 마드리드에서 열린 대량살상무기 확산저지 대책 11개국 회의△하와이에서 열린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 회의 △아세안 외무장관회담 및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회담 결과를 지켜본 뒤 나와 특히 주목을 끌었다.
이는 북한외무성 성명이 최근 부시 행정부가 취한 일련의 대북압박정책에 대한 답신의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파월 장관은 북한이 후속 5자회담을 수락하지 않을 경우, 유엔이 몇주내 대북경제제재 결의 등을 포함한 대북조치 논의에 착수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미 북한은 북핵 문제의 유엔안보리 논의와 대북제재 결의는 북한에 대한 '사실상의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중국은 18일 안보리가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제재'를 논의할 경우 이를 봉쇄하겠다고 강력히 시사했다.
러시아 외무부도 이날 북핵이 어떤 경우에도 대화로 풀려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또 표면적으로 미국-북한 간에 강경한 기류가 흐르기는 하지만 미국도 가능한 한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야 한다는 기본 방침에 변화가 있는게 아니라는 관측도 여전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