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운영위원 경선 후유증 치료 과제로 남아

지역 한나라당을 뜨겁게 달궜던 경선이 끝이 나고 승자와 패자의 명암이 엇갈렸다. 대구나 경북 모두 큰 이변없이 예상했던 대로 당락이 결정됨에 따라 별다른 정치적 후유증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선과정에서 일었던 불협화음과 과열 양상을 어떤식으로 치유하느냐는 여전한 과제로 남아있다. 여기에 당대표 선거의 의원 줄서기 논란까지 맞물려 당원들간의 내부 결속도 또다른 현안이 되고 있다.

▲대구=막판에 박승국 의원이 맹추격을 벌였지만 이해봉, 백승홍 의원이 결국 1.2위를 차지했다. 이 의원은 대구시장을 지낸 지명도 덕을, 백 의원은 지하철 참사 등에 앞장선 활동력이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박 의원은 "대구 선거인단이 아직 대구에 대한 나의 마음을 모르는 것 같아 아쉽지만 이번 기회에 나를 알릴 기회가 됐다"며 소회를 밝혔다.

선거이후 대구시지부장을 누가 맡느냐를 놓고 벌써부터 신경전이 치열하다. 당연히 1위를 차지한 이 의원에게 돌아갈 것 같지만 백 의원이 강하게 제동을 걸고 있다. 백 의원은 "이 의원은 운영위원 출마때 공약이 중앙상임위원 출마였고 나는 시지부장직을 공약했다"며 양보 불가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이 의원은 "국회의원들의 뜻을 따르겠다"면서도 "지역 의원들이 시지부장직을 맡겨준다면 당연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지부장은 지역 의원들의 '호선'으로 결정하지만 내년 총선 공천에 그만치 유리한 자리를 차지하기 때문에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어 보인다.

우려했던 선거후유증은 별로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박 의원이 100여표 차로 아깝게 낙선했지만 선거에 대해 별다른 이의를 달지 않고 있다. 총선과 같이 상대당이 있는 선거인 경우는 다르지만 같은 당 소속 의원들끼리 문제를 제기해봐야 별반 소득을 얻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 같다.

▲경북=당내 정치적 비중과 선수 등에 비례해서 등수가 나왔다는 점에서 이변은 없었다. 예상대로 이상득 최고위원이 무난한 1등을 차지, 지역 출신 가운데 가장 화려하고 다양한 당직 경력을 가진 중진으로서 체면을 구기지 않았다. 대구.경북 몫의 상임운영위원에도 0순위로 거론되는 등 지역 이익을 최전방에서 대변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같은 4선인 김일윤 의원은 분전에도 불구하고 이 최고위원의 벽을 넘는데 실패했다. 지난해 최고위원 경선에서 두 표 차이로 낙마한 분루를 또 삼켜야 했다. 1위를 차지, 상임 운영위원에 도전하겠다던 계획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권오을 의원은 지역 선거인단 숫자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2위와 표 차이가 거의 없는 3위를 차지, 선전했다는 평가다. 이번 경선에서 세대교체의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꿈은 이루지 못했지만 정체감에 빠져 있던 지역에 큰 자극을 던져준 것만은 사실이다.

초선으로 재선과 다선 의원 등 선배에게 도전장을 던진 김성조 의원 역시 이미지를 크게 구기지 않는 수준으로 분전했다는 점에서 낙선은 했지만 실패한 경선은 아니라는 평가다. 박성만 도의원 역시 지구당위원장이 아니라는 한계를 드러내긴 했지만 지명도를 높이고 이름을 도내 전역에 알렸다는 점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결과를 종합할 때 경북지역 운영위원 경선은 기존의 벽이 여전히 두텁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변화의 싹을 보였다는 평가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