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갈짓자 '초보 청와대'노대통령 매 들었다

노무현 대통령이 청와대 기강잡기에 나섰다.

노 대통령은 25일 정책실 소속 비서관 3명을 경질한 것은 예상을 뛰어넘는 초강경 조치다.

사표가 수리된 이들은 모두 대선 때부터 공약작성작업에 참여하거나 인수위원을 지낸 '싱크 탱크'들로서 노 대통령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국정과제 태스크포스의 핵심 멤버들이다.

잇따르고 있는 청와대 직원들의 공직기강 해이를 다잡기 위해 '읍참마속'(泣斬馬謖)의 심정으로 중징계에 나섰다는 것이다

이는 노 대통령 스스로 '초보 청와대'에 대한 여론이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윤태영 청와대 대변인은 새만금사업 시찰 물의에 대해서는 좬일단 조치(주의)가 내려진 상황이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조치를 할 수 있는 게 없다좭며 다른 징계조치가 없을 것으로 브리핑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문희상 비서실장을 통해 이들의 사표를 보고받자 처리할 것을 지시했다고 한다.

분위기가 급변한 것이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좬노 대통령은 새만금 물의와 관련된 TV뉴스를 직접 보고서 대로한 것으로 알고 있다좭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정우 정책실장도 정책실 직원들의 물의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며 사의를 표명했으나 노 대통령이 만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또한 국정원 간부 사진유출사건과 관련, 대통령 전속사진사를 직권면직한데 이어 26일 2차 징계위를 열어 보안사항 고지여부와 사진이 인터넷에 게재된 후에도 모니터링하지 못한 부분 등에 대한 책임소재를 가려, 후속징계에 나서기로 해 홍보수석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노 대통령은 내달 2일 월례조회를 통해 전직원들에게 근무기강 해이를 질타하고 참여정부 출범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갈 것을 강조할 예정이다.

노 대통령이 이처럼 청와대 직원들의 기강해이를 바로잡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나섰지만 구조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재발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참여정부가 출범한지 4개월여밖에 되지않았지만 새만금 헬기사건외에도 국정원 간부사진 유출, 방미때 대통령의 전화를 받지 않은 당직자, 청와대 관람객이 대통령 탑승차량에 편지를 던져 넣은 사건 등 기강해이 사건이 그치지 않았다.

지난 일요일에는 노 대통령이 명륜동 배드민턴장을 방문한 자료화면이 유출돼 특검연장거부에 대한 노 대통령의 입장이 여과없이 방송되는 일도 벌어졌다.

이처럼 곳곳에서 기강해이 사건이 속출하자 노 대통령은 이번 기회를 청와대 직원들의 흐트러진 의식을 다잡는 계기로 활용하기로 하고 초강수를 빼든 것이다.

그러나 노 대통령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386참모들을 중심으로 한 '8인회'가 사실상 청와대를 움직이고 있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고 있는 등 사적 관계와 공적 관계가 혼재하면서 빚어지고 있는 혼선과 내부갈등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점에서 청와대비서실 조직의 전면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