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제계의 해묵은 숙원인 대구상공회의소와 달성상공회의소 통합 문제가 마침내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대구지법 제20민사부는 25일, 대구상의가 달성상의를 상대로 제기한 회원가입 접수 등 금지 가처분신청에 대해 "달성상의는 달성군 지역내 상공인들을 상대로 회원가입신청을 접수하거나 상공회비를 징수해서는 안된다"고 결정하고 달성상의가 대구상의를 상대로 낸 회원가입신청 접수 등 금지 가처분신청을 기각함으로써 두 단체 간 법정분쟁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한 것이다.
우리는 대구상의와 달성상의가 갖고있는 태생적인 문제점과 각각의 입장을 이해못하는 바 아니다.
통합의 당위성이나 그로인한 효율성이 검증된 바도 없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것은 시민들은 한결같이 두 단체가 합쳐지기를 바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지역 경제가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다.
두 단체의 정체성(正體性) 논쟁도 중요하지만 지역경제에 전혀 도움이 되지않는 소모성 갈등임이 틀림없는 만큼 이를 생산적인 에너지로 전환해 달라는 애틋한 주문이다.
불황의 골짜기를 헤매다 못해 거의 탈진 상태에 있는 대구 지역민들은 이제 같은 성격의 두 단체가 하나의 목표를 위해 일로매진할 수있다는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비록 두 단체가 화합 차원에서 스스로 공통분모를 찾지못하고 물리적인 힘에 의해 강제된다는 아쉬움이 남지만 소아(小我)를 버린다는 거시적인 안목으로 거듭 태어나는 전환점이 돼야할 것이다.
두말할 나위없이 지금은 지방화, 지방분권이 세계적인 화두(話頭)다.
그러나 지방화는 지역경제의 활성화 없이는 불가능하다.
그 역사적인 과업 달성의 일선에 바로 지역 상공인들이 있다.
지역이 살아남기위해 지역혁신시스템(RIS)을 창조해야하는 것도 그들의 몫이다.
이를 위해서는 협력과 화합이 무엇보다 강조된다.
이제 두 단체는 '지역경제 살리기'의 진정한 기수(旗手)가 돼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줄 것을 기대해 마지않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