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에서는 지방인사의 기용폭이 넓어질 전망이다.
정부의 인사시스템 혁신을 주도하고 있는 정찬용 인사보좌관이 1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얼마전 대전에서 열린 '참여정부 인사시스템 혁신 토론회'결과를 노무현 대통령에게 보고하면서 대통령 임명직과 위촉직의 30%를 지방인사로 인선한다는 목표를 제시한 것이다.
노 대통령이 "초야에 묻혀있던 옥이 발굴될 것 같은가"라고 묻자 정 보좌관은 "흙이 깊어 더 파봐야 되겠다"고 선문답식으로 답했다.
정 보좌관은 2일 이와 관련, "서울사람만 있는 것이 아니다"며 '서울공화국'을 허물기 위해 지방인재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청와대가 인사개혁차원에서 지방인재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은 지방인사발굴과 기용은 지방분권화에 대한 노 대통령의 의지를 구체화하고 지역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히든카드라는 인식때문이다.
인사보좌관실은 본격적인 지방인사 데이터베이스(DB)작업에 나서고 있다.
이미 각 지자체의 협조를 얻어 3만명에 이르는 지방고위직 공무원과 지자체 소속 각종위원회 위원들의 명단을 확보했고 각 대학 총, 학장들에도 공문을 보내 인재추천을 당부한데 이어 각 지역언론사와 NGO의 지역네크워크를 통해서도 '역량있는'지방인사들을 모으고 있다.
인사보좌관실은 이날 대통령보고를 통해 참여정부 임기내에 대통령 임명직과 위촉직의 30%를 지방출신으로 채운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행자부 등 관계부처에도 이같은 지침을 시달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일차적으로 각 부처가 운영하고 있는 각종 위원회에 지방인사들을 최대한 포진시키기로 했다.
인사보좌관실은 이미 지난 4월 공정거래위원 선임때 지방인사를 적극 추천, 30%를 지방출신으로 채우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올해는 각종 위원회의 10%를 지방출신으로 위촉하고 이를 연차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참여정부에서는 지방인사의 개념이 다르다.
과거정부에서는 서울에 거주하는 '출향인사'도 지방으로 분류했으나 이제는 지방에 거주하고 실제로 지방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사를 '지방인사'로 구분하고 있다.
실제로 참여정부가 출범하면서 노 대통령은 권기홍 노동, 허성관 해수부장관, 이정우 정책실장, 문재인 민정수석, 정찬용 인사보좌관 등 이같은 기준의 '지방인사'들을 내각과 청와대에 대폭 기용한 바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