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수생 무턱댄 도전 성공률 낮다

해마다 이맘때면 휴학을 하고 다시 수능시험 공부를 할 것인가, 아니면 계속 학교에 다닐 것인가로 고민하는 대학생들이 많다.

한 학기를 마치고 수능공부에 뛰어드는 이른바 '반수'(半修.반학기 재수)는 최근 몇 년 사이 유행이 됐다.

특히 내년부터 7차교육과정에 의한 대입제도가 도입되기 때문에 올해가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는 대학 재학생들이 대거 수능 준비에 합류할 태세를 보이고 있다.

많은 대학생들이 다시 수능시험에 도전하지만 성공의 확률은 실제로 별로 높지 않다.

가능성에 대한 엄격한 검증, 치밀한 계획과 특별한 각오 없이 막연히 시작한 수능공부는 결국에 가서는 더 큰 좌절감과 시간 낭비로 귀결되기 쉽다고 입시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반수의 결정과 성공적인 반수 방법에 대해 전문가들의 견해를 종합해 본다.

▶재수생 증감 실태와 전망

재수생 수는 96학년도를 기점으로 99학년도까지는 매년 줄어들었고 2000학년도부터 다시 늘어나다가 2002학년도부터 다시 감소하기 시작했다.

99학년도까지 재수생 수가 줄어든 이유는 상위권 대학의 특차모집 확대와 정시모집에서의 실질적인 복수지원 기회 증가로 고득점 수험생들의 탈락이 현저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2000학년도와 2001학년도에는 수능시험이 너무 쉬워 한두 문제 실수로 바라던 대학에 입학하지 못했다고 생각하는 수험생이 많아 재수생 숫자도 늘었다.

2002학년도에 재수생이 다시 감소한 데는 수능 위주의 특차모집이 없어지고 학생부 비중이 큰 수시모집과 각종 추천제가 확대되면서 재수생이 불리하리라는 견해가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수험생의 자연 감소도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런 추세 때문에 지난해에 이어 2004학년도에도 전체 재수생 수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서는 서울대를 비롯해 연.고대와 수도권 중상위권 대학, 지방 국립대의 재학생 상당수가 반수 대열에 뛰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지역의 한 대입학원 종합반에는 6월 이후 지금까지 서울대, 연.고대 등 수도권 명문대 재학생만 50명 이상 등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휴학생 중에는 이공.자연계열이 가장 많고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이 그 뒤를 잇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반수생 수는 지난해보다 줄어들었지만 최상위권 인기학과와 의.약.한의예 계열에서는 이들 반수생들이 여전히 큰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반수, 신중하게 결정해야

많은 대학 재학생들이 반수를 하지만 실제 성공 가능성은 처음부터 재수를 한 수험생보다 훨씬 낮다.

가장 큰 이유는 지난해 수능시험 이후 상당 기간 공백기를 거치면서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 등을 많이 잊어버렸다는 것이다.

수능시험이 단편적인 지식의 암기를 요구하던 과거 학력고사와는 달리 추리력, 상상력, 고차원적인 사고력, 지적인 유연성과 탄력성 등을 요구한다고 하지만, 문제 풀이를 위해서는 바탕 지식과 정보를 반드시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반수생은 그 기본을 회복하고 재생시키기에 시간이 부족하다.

반수를 하고자 하는 학생은 최근의 모의고사 문제를 몇 차례 풀어보고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반수생은 끝까지 최선을 다하지 않을 가능성이 많다.

수능시험을 잘 치르려면 자신이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과목도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따라서 공부하는 과정도 그만큼 힘들고 인내심을 필요로 한다.

대학에 적이 있는 학생은 어렵고 힘들 때 악착같이 공부하기보다는 실패해도 돌아갈 곳이 있기 때문에 나태해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반수를 결정하기 전에 자신의 성향과 마음 자세 등을 냉정하게 판단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특정 영역이 특별히 약해서 지난해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면 올해도 그렇게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런 사실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인문계열에서 언어, 자연계열에서 수학이 약했던 학생의 경우 남은 몇 달 동안 공부해서 지난해보다 더 좋은 점수를 받기란 어려우므로 이 점을 잘 고려해야 한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