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진 핵폐기장 또 논란

'울진 방사성(핵)폐기물 처분장 카드는 꺼진 불인가, 회생 가능한 불씨인가'.

자율유치 신청기한(15일)을 열흘 앞둔 지난 5일 부지 선정 관련 주민 설명회가 전격적으로 이뤄지면서 '물 건너간 사업'으로 여겼던 핵폐기장에 대한 논쟁이 새롭게 전개되고 있다.

원전수거물 관리시설 유치위원회측은 "다수의 군민들이 원하고 있는 만큼 군수가 마땅히 유치신청을 해야 한다"며 '살아있는 불씨론'을 주장하고 있는 반면, 울진핵폐기장 반대투쟁위원회측은 "정부측이 세차례나 핵종식 보장을 약속했다"며 '꺼진 불씨론'으로 일축하는 등 논란이 뜨겁다.

유치위원회측은 설명회장에 1천여명의 주민들이 참석한 데다 전직 군의원들과 학교장 등 지역 지도층 인사들도 일부 참석하는 등 기대 이상의 성과를 얻었다고 자체 분석하며 크게 고무된 표정이다.

지난달 23일 설명회 개최가 필요하다는 서명을 주민 2천700명으로부터 받은데 이어 실제 행사에서도 적잖은 인원이 참석하는 등 군민들 사이에 낙후된 지역발전을 위해선 핵폐기장 유치만이 대안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확신하고 있는 것.

여기에다 설명회에 참석한 김신종 산자부 에너지산업국장도 "아직 15일까지 시간이 있으며 군수를 통해 (유치)공문 한 장만 보내주면 산자부는 대문을 활짝 열어놓고 기다리겠다"며 여운을 남겼다.

하지만 핵반투위측과 사회단체들은 '어림없는 소리'라 일축한다.

정부가 세차례나 '울진에 핵폐기장을 짓지 않겠다'고 약속한 데다 전라도 군산과 부안, 강원도 삼척 등지에서 유치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울진 핵폐기장은 '물 건너간 카드'라고 잘라 말하고 있는 것.

또 5일 설명회도 참석자의 3분의 2가 60,70대 노년층이고 나머지 3분의 1이 원전 하청업체측 일용근로자들로 동원된 인력들인 만큼 의미가 없다고 평가절하했다.

울진.황이주기자 ijhwan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