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도의희 의장 퇴장 해프닝

지금 김천지역에는 "지역민들 사이에 횡행하는 모함성 진정.투서 풍조가 이젠 근절돼야 한다"는 여론이 강하게 일고 있다.

김천경찰서에 따르면 현재 고소.고발.진정 사건의 접수 건수는 월 평균 200여건으로 지난해보다 40여건, 20% 정도 증가했고, 지난해 6.13 지방선거때 선거법 위반으로 30건이 사건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정치인.공무원.사업가 등 지역 지도층 인사들을 대상으로 한 모함성 진정.투서는 검찰.경찰이나 감사원 등에 접수되고 있다.

대상자들이 수사기관에 불려 다니는 것은 물론, 투서를 낸 것으로 오해를 사는 등 지역사회가 사분오열되고 있어 이젠 지도층이 앞장서서 이런 잘못된 풍조를 종식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는 것.

지난 4월 박팔용 시장의 선거운동원 한명이 공무원 인사청탁과 관련, 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을 때도 박 시장을 비롯한 공무원들에 대한 모함성 진정.투서가 상당량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음해성 유언비어도 한동안 난무했다.

박보생 김천시청 사회산업국장은 "시청 주요 간부들의 이름을 도용해 진정.투서하는 경우도 몇차례 있어 이때마다 해당 공무원들이 검.경찰, 감사원 조사를 받는 등 곤욕을 치렀다"며 "황당한 내용의 진정.투서이지만 당하는 사람의 심적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문재원(김천시 지례면)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은 "일부 지도자들 사이에 서로간 이해 부족 등에서 빚어지는 일들이 진정.투서 등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안다"고 지적했고, 김정국 김천시의회 의장은 "지도자를 비롯, 공인들이 풀어나가야 할 숙제이고 책임을 통감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이동관기자 lch888@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