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진 핵폐기장 유치 신청할까

'원전 수거물 관리센터(핵폐기장)는 결국 경북 지역을 벗어날 것인가'.

핵폐기장 유치 신청 마감일(15일)을 하루 앞둔 14일 오전 원전 수거물 관리센터 울진 유치위원회측이 군청 앞 광장에서 가진 '유치 촉구 결의대회'이후 울진군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마지막까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울진군은 김용수 군수가 "지난 1999년 정부가 지정.고시한 기존 울진원전 인근의 북면 덕천리 신규 원전 4기 부지를 해제해 주면 핵폐기장 수용여부를 검토해 볼 용의가 있다"고 밝혀놓고 있어 현재로서는 △유치 촉구 대회에 주민들이 대거 참석하고 그러한 유치 분위기가 지역사회에 확산돼 군수의 결심을 바꾸어 놓을 것인가 △아니면 정부측이 김 군수 요구를 전폭적으로 수용할 것인가 △또는 김군수가 기존 입장을 고수할 것인가에 관심이 몰리고 있는 것.

이에 앞서 지난 12일 김용수 울진군수는 한국수력원자력 협력업체 울진출신 직원들의 모임인 원우회 회원들과의 면담에서 "법적 보장이 없는 한 유치신청은 어려운 것 아니냐"고 밝히는 등 정부 지원사업의 '선 보장'이라는 기존 입장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

한편 영덕군은 김우연 군수와 이상열 군의회 의장까지 유치 반대위에 적극 동참하고 있는 가운데 유치위가 "15일까지 시.군에서 유치신청이 없을 경우 곧바로 주민 5%이상의 서명을 받은 청원서를 산업자원부에 제출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군민서명을 받아놓았으나 가능성은 거의 없는 상태다.

유치 희망 시군이 없을 경우 해당지역 유권자의 5%를 넘는 주민이 서명하면 주민투표에 회부한다고 정부가 방침을 밝힌 가운데 전북 부안군이 14일 전국지자체중 처음으로 유치신청서를 산자부에 제출했으며 강원도 삼척시도 유치 신청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 2곳은 정부가 실시한 지질조사 결과 적합지로 판정을 받았다.

이밖에 전남 영광.장흥, 전북 고창은 단체장과 의회, 주민들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들 지역의 신청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한편 정부는 원전수거물관리센터 유치지역 지자체에 양성자 가속기센터 설립 우선권을 부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울진.황이주기자 ijhwan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