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에너지 시민토론회-작은 것부터 시작합시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도시 건설은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에너지 시민토론회가 지난 10일 대구여성회 강당에서 대구녹색소비자연대, 맑고푸른대구21 에너지분과 주최로 열렸다.

주제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에너지 정책과 전략'.

김정인 중앙대 산업경제학과 교수는 주제발제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기 위해선 시청 앞, 번화가 등에 태양전지 가로등을 설치하는 등 생활주변의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지속가능한 에너지 도시는 기존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과 함께 적극적인 신재생(대체)에너지 개발, 보급에 달렸다"고 말했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이미지와 인식을 개선하고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것.

또 지방세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사용을 위한 기금을 조성, 신재생에너지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수송, 교통 부문에 집중적인 투자와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독일, 덴마크, 스웨덴, 영국 등 유럽국가들은 벌써 10여년전부터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개발에 주력, 이미 상당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고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업체에서 풍력 발전 에너지를 개발하면 국가에서 사용을 의무화하고 이를 구입, 사용하는 업체에 대해선 그린 인증이나 세금 혜택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고 했다.

또 이들 국가들은 중앙 및 지역 정부가 지역 에너지 정책을 위해 함께 노력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미국, 호주, 일본 등은 중앙정부의 에너지 정책과 지역 정부의 정책을 조화시키면서 지속가능한 지역 에너지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며 "또 지역 산업, 시민 등과 연계한 에너지 파트너십 프로그램 및 신재생 에너지 육성 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최현복 에너지시민연대 공동대표는 신재생에너지 활성화에 대해 "주택, 상가, 학교, 병원 등 접근성이 높은 곳에 태양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의 다양한 샘플과 모델을 설치해 홍보 효과와 함께 시민들의 사용 의지도 높여야 한다"며 "세제 혜택 등으로 참여 시민들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특히 신재생에너지 사용에 대한 교육을 확대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충환 대구시의원은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사용의 활성화를 위해선 신재생에너지 기금 마련 및 세제 혜택 등을 내용으로 하는 에너지 조례부터 제정해야 한다"며 "기업들의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및 연구, 기술 개발 지원 보장과 신재생 에너지 의무적 구입 등의 제도적인 뒷받침도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해동 계명대 환경학부 교수도 "아무리 재생에너지를 개발해도 계속해서 도로가 확장되고 고층 건물이 들어서면 에너지 소비도 따라 늘기 때문에 에너지 문제는 결코 해결되지 않는다"며 "무엇보다 먼저 사회적 시스템과 정책 방향부터 바로 잡아야 한다"고 했다.

장성규 에너지관리공단 대구경북지사 기술지도부장은 "조금 불편하더라도 시민들이 에너지 절약에 대한 의무감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