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운용 의원 징계 무산

동계올림픽 평창유치 방해설과 관련, 김운용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의 징계를 논의하기 위해 15일 오전 열린 국회 평창특위는 민주당 의원들의 '우보(牛步)전술'에 따른 한나라당 의원들의 집단퇴장으로 무산됐다.

김 부위원장의 징계여부를 두고 여야 의원간 대리전 양상으로 비화된 특위는 향후 회의 일정도 잡지 못한 채 종료돼 상당한 논란을 예고했다.

파행의 발단은 민주당 의원들의 지각출석이 원인이었다.

당초 오전 8시부터 회의를 열 계획이었으나 민주당 간사인 함승희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 의원들이 회의장에 나타나지 않아 40여분간 공전됐다.

가까스로 회의는 열렸지만 절차상 문제를 들어 민주당 의원들이 발끈하면서 또다시 갈등을 빚었다.

한나라당 간사인 김용학 의원이 "김 부위원장의 말과 행동이 평창유치에 방해요인으로 작용했음이 명약관화해졌다"면서 "동료의원으로 가슴 아프나 윤리적.도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점에서 공직사퇴 권고 결의안을 제출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김학원 특위위원장은 "김 부위원장의 소견을 들어보고 여야 각 5분씩 대체토론을 벌인 뒤 징계여부를 표결에 부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한나라당 이원형.김영선 의원 등이 "지난 9일과 14일 두 차례나 관련자들을 불러 증언을 들었고 김 부위원장의 해명도 충분했다"면서 "곧바로 표결에 들어가자"고 역제안했다.

그러자 민주당 전갑길.김경천.조재환 의원 등이 "의원 신상문제를 쫓기듯 서둘러 처리해서야 말이 되느냐"며 "징계에 앞서 김 부위원장의 소견도 들어보고 반대토론도 충분히 해야 한다"며 표결처리에 반대했다.

김경천 의원은 특히 "평창지원특위는 무슨 '조사특위'나 '인민재판 특위'가 아니다"며 발끈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양당 의원간 고성이 오갔고 결국 한나라당 의원들이 집단 퇴장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간사인 함승희 의원은 "평창 방해설을 제기한 김용학 의원이 진상규명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 불만스럽다"며 "장본인이 사퇴 권고안을 꺼내놓고 동료 의원들을 몰고 가다니…. 이 지경으로 타락했나"라고 흥분했다.

민주당 의원들의 성토와 한나라당 의원들의 퇴장으로 회의진행이 어렵게 되자 김 위원장은 오전 9시 20분쯤 정회를 선포했다.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