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 '대선자금'조사제안 배경과 전망

대선자금을 가장 잘 해명할 수 있는 곳은 '민주당과 이상수 총장'이라며 대선자금에 대한 언급을 극구 회피해오던 청와대가 15일 갑자기 '정면돌파'로 급선회한 것은 대선자금에 대한 이 총장의 발언 때문이었다.

이 총장은 14일 "지난 대선때 희망돼지를 통해 모금한 선거자금은 4억5천만원이었다"면서 "당초 돼지저금통으로 들어온 성금이 80여억원이라고 했던 것은 일반계좌를 통해 모은 중소기업 후원금까지 말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이 총장의 '고백'이 사실이라면 지난 대선당시 희망돼지를 통한 국민성금 등으로 깨끗한 선거를 치렀다고 주장한 노무현 대통령과 민주당은 거짓말을 해 온 것과 다름없다.

일부 조간신문들이 15일 희망돼지모금액을 자랑한 노 대통령의 발언을 소개하면서 도덕성을 공격하고 나섰다.

청와대가 대선자금에 대해 정면대응키로 한 것은 노 대통령이 이를 정면돌파해야겠다는 생각을 가졌기 때문 아니냐는 관측이다.

문희상 비서실장은 이날 국무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대선자금 문제에 대해 정면돌파하자고 한다"면서 "오전 중 춘추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공식입장을 밝힐 계획"이라고 전했다.

청와대는 그러나 지난 대선자금을 소상히 밝히는 정공법이 아니라 민주당뿐 아니라 한나라당에 대해서도 대선자금의 모금과 집행내역을 소상히 밝히자는 제안을 제시했다.

문희상 실장은 이를 "역사와 국민앞에 고해성사를 하고 이를 정치개혁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 노 대통령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대선자금에 대한 폭로 등 현재의 논란에 일일이 대응하다가는 소모적 정쟁으로 비화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결국 청와대는 정 대표의 폭로로 인한 대선자금 논란에 정면대응하기보다는 이를 정치권 전반의 정치자금문제로 증폭시켜 회피하는 묘책을 제시한 것이다.

청와대는 그동안 한나라당이 노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밝히라고 요구하고 나선 것도 정치공세라며 일축해 왔다.

윤태영 대변인은 지난 주말까지도 "노 대통령이 대선자금에 대해 밝힐 계획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섣불리 해명에 나설 경우 야당에 역공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청와대가 정 대표의 폭로로 불거진 대선자금의혹에서 벗어나기 위해 스스로 국민앞에 대선자금전반에 대해 고백하기보다는 야당에 대해 '함께 대선자금을 까발리자'고 제안하고 나선 것은 여야 합의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에서 책임회피가 아니냐는 비난을 받고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