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금속 환경정화식물 개발

독성 중금속인 납과 카드뮴을 일반 식물보다 배 이상 흡수할 수 있는 환경정화 식물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이영숙 교수팀은 21일 유전자를 조작해 카드뮴 저항성 유전자인 YCF1을 실험용 식물인 '애기장대'에 삽입, 카드뮴과 납에 대한 저항성이 야생종보다 훨씬 뛰어나고 식물 개체당 납과 카드뮴 흡수량도 일반 식물보다 배 이상 많은 식물을 만들어냈다고 밝혔다.

납과 카드뮴은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독성 중금속으로 납은 청소년 두뇌발달을 저해하고 카드뮴은 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물질에 대한 저항성과 흡수능력을 월등히 향상시킨 식물개발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연구결과는 생명공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러지' 8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이 교수팀은 YCF1 유전자를 가진 식물은 환경으로부터 납과 카드뮴을 흡수해 자기 몸에 저장하기 때문에 이 유전자를 몸집이 큰 식물에 도입하면 납이나 카드뮴으로 오염된 지역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독성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팀은 현재 임업연구원과 함께 이 유전자를 포플러에 도입하는 연구를 하고있으며 이 포플러가 예상대로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경우 이를 중국 황사 근원지에 심어 황사의 중금속 함량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운석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