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이 시작됐다.
규칙적인 습관이 흐트러지기 쉬운 이때는 매 끼니 아이들 식사가 여간 신경쓰이는 게 아니다.
그러나 밥 먹을 때마다 한바탕 전쟁을 치러야 하는 아이가 있으면 부모는 고역일 수밖에 없다.
어린 시기에는 골고루 잘 먹어야 영양섭취는 물론 건강하게 성장하기 때문. 한숟가락 먹이기까지 어르고 달래야 먹는 둥 마는 둥 하면 짜증이 나고 지치기도 한다.
경북대 병원 영양팀장 서수원씨는 "자기 입맛만 고집하는 아이에게 부모가 강요만 하는 것은 바람직한 태도가 아닌 것 같다"며 "인스턴트 음식은 가급적 피하면서 식성을 살펴 서서히 준비한 식단에 적응해가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밥의 양을 한번 살펴봐야=아이가 밥을 잘 안먹을 때는 우선 밥의 양을 줄여보는 것도 한 방법. 처음부터 무리하게 많은 양을 떠 주기보다 아주 소량으로 시작해서 아이가 작은 양의 밥을 다 먹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릇을 깨끗이 비우고 아쉬움이 남게 함으로써 아이가 조금씩 양을 더 원하도록 유도한다.
부모가 무조건 어르고 달래게 된다면 아이는 더욱 더 떼를 쓰거나 자기 마음대로 하려 한다.
반면 혼을 내는 것도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
감정적으로 화를 내면 아이는 밥먹는 것이 곤욕스럽기 때문이다.
▶규칙적인 습관도 중요=아이가 멀뚱히 식탁을 바라보고 있으면 밥을 먹도록 곁에서 사정하기보다 한번 무시해보는 것도 한 방법. 다른 식구들이 맛있게 식사를 끝낸 후 식탁을 정리한다.
아이는 함께 먹지 않으면 결국엔 굶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가정이 아닌 사회에서는 어느 누구도 자신에게 관심을 가지고 애원하면서 사정하는 경우는 없다는 것을 스스로 느끼게 해주는 것도 때로는 필요하다.
▶간식과 식사 구분을=혹시 아이가 식사 대신 간식을 많이 먹는 건 아닌지 살펴볼 필요도 있다.
간식은 간식일뿐 식사와는 구분이 된다는 점을 일러주고 간식 때문에 식사를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간식의 양을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아이들이 좋아하는 인스턴트 음식은 어떤 요일을 정해 만들어 주면 좋다.
식사를 다하면 원하는 것을 들어준다는 식의 방법은 자녀의 식사습관에 도움이 별로 안된다.
노진규기자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