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역 국감 시들할 듯

17대 총선 전 마지막 국정감사가 보름앞으로 다가왔지만 국감을 대비하는 지역의원들의 적극적인 모습이 예년같지 않다.

대구 유니버시아드대회와 경주 엑스포 행사 등 대규모 국제행사 개최를 이유로 지역의 피감기관과 현안에 따른 증인출석이 대폭 축소됐고, 정치개혁을 둘러싼 당내 논란이 심화돼 의원들의 집중력을 흐트러지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의 피감기관을 살펴보면 작년에 국감이 실시됐던 대구고.지법, 대구시교육청, 경북체신청, 경주시, 2군사령부 등 12개 기관은 올해 국감에서 제외됐고 소관 상임위도 8개에서 5개로 축소됐다.

올해 피감기관이 전국적으로 393개로 확정돼 전년에 비해 27개 늘어난 것과 비교해봐도 크게 줄어든 것이다.

피감기관이 줄어들자 의원들은 지역현안 보다는 전국적인 문제점을 발굴하는데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영등포의 한 유명 패션몰의 불법상업활동(산자위 소속 백승홍 의원), 김두관 행자부장관 해임안 후속 대책(행자위 정창화, 이병석 의원), 한총련 불법시위 처리 문제(국방위 박세환 의원 이상 한나라당), 하나로 통신의 만성 적자 운영(국회 과기정통위 민주당 박상희 의원) 등 전국적 이슈에 대한 지역의원들의 관심이 어느때보다 높다.

한나라당 소속 지역의원들은 또 지도부가 최근 최병렬 대표체제 출범이후 자주 연출된 리더십 부재 현상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청와대를 비롯한 대여 투쟁에 당력을 쏟겠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는 만큼 지역현안 보다는 대여공세 재료 찾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특히 권양숙 여사를 비롯 노건평씨, 이기명씨, 염동연씨 등 노무현 대통령 주변인물들을 중심으로 가능한 한 많은 증인을 신청하려고 했다가 민주당과 논란을 벌이는 등 벌써부터 뜨거운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한나라당이 준비하고 있는 대여 공세 중 23일 행자위에서 다룰 대구유니버시아드 기간 중 발생한 북한기자단과 보수단체간 충돌건이 유일하게 지역문제와 관련돼있으나 증인으로 출석을 요구해 놓은 인사들(민주참여연대 이준호 대표와 국경없는 사회 소속 독일인 폴러첸씨, 예비역대령연합회 서정갑 회장 등)에 대한 이념논쟁으로 끝날 가능성이 커 이역시도 여야 공방의 장으로 변질되는 선에서 마감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소속 지역 의원들도 국감 시작 이틀전인 오는 20일 신주류가 탈당해 신당을 만들겠다고 밝힘에 따라 자신들에게 미칠 영향과 득실을 저울질하는 데 우선하는 등 지역현안에 대한 감사준비는 아예 뒷전이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