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토법-주택법 상치, 보완 필요

신설 '국토법'과 '주택법' 규정이 상치돼 두 법의 취지를 함께 살리는 쪽으로의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올 1월부터 시행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국토법)'상에는 도시의 난개발과 과밀화를 막고, 도심 경관유지를 위해 아파트 사업부지 규모가 1만㎡ 이상일 경우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토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올 5월 29일부터 공포, 시행된 주택법상 의제규정에는 주택사업의 규제완화로 주택공급을 원활히 한다는 취지로 사업부지가 1만㎡ 이상 일 경우도 '의제처리' 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규정을 적용, 대구시는 지난 6월 수성구의 한 아파트 단지에 대해 기초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 이의가 없자 지구단위계획 의제처리를 하고 주택사업승인을 해 줬다.

이를 두고 국토법 취지가 훼손됐다는 지적이 일자 시 관계자는 "국토법 규정과는 달리 의제처리가 가능하다고 규정한 주택법이 시행돼 구청과 협의를 거친 뒤 처리한 것이며, 국토법 관련 도시계획조례가 제정되지 않은 상태여서 부지가 1만㎡ 이상이지만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사업승인 신청되는 아파트의 경우도 부지면적에 관계없이 현행 법상 의제처리를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 부지에 대해 1억원의 용역비를 투입, 지구단위계획을 추진했던 해당 건설사는 "법이 바뀌는 바람에 엄청난 비용과 시간을 들여 마련한 지구단위계획안이 무산됐다"면서 되레 불만을 터뜨렸다.

이 처럼 사업주가 아파트단지의 쾌적성과 편익성을 높이기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세우려해도 법이 가로막고 있는 데 대해 도시계획.공학전문가들은 도시의 계획개발과 원활한 주택공급이라는 두 법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상치되는 규정을 조정, 보완한 명확한 법 규정이 새로 마련돼야 도시의 난개발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지구단위계획이란 해당지역을 1개 도시로 간주, 교통과 녹지공간, 공공시설 등을 충분히 갖추도록 사전에 계획하고, 사업자가 도시계획에 따라 인프라를 하나하나 구축해 나가도록 도시계획위원회가 사전에 지정, 세부 배치시설을 결정하는 것이다.

황재성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