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싱가포르서 사스환자 발생 입국자 검역나서

싱가포르에서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방역당국이 9일부터 감시 체계를 강화하는 등 단계별 사스 대책을 가동한다.

국립보건원은 우선 전국 125개 응급의료기관과 47명의 감염전문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사스 감시 체계를 운영하기 시작했으며 싱가포르 입국자에 대한 사스 검역에 나섰다.

보건원은 최근 사스 방역에 대한 자문을 받기 위해 미생물학, 호흡기내과 등 관련 분야 전문가를 보강해 총 14명으로 사스 자문위원회를 재구성했으며 이달중 검역소 직원, 병.의원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와함께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의 관련 직원을 대상으로 항체검사, PCR 검사 등 사스 진단검사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관련 장비도 갖추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보건원은 11월부터 내년 6월말까지 최악의 경우 732~3천837명의 사스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부정적인 가정하에 해외에서의 환자 발생 추이와 세계보건기구(WHO)의 발표 정보 등에 따라 방역체계를 단계적으로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우선 해외 1개국 이상에서 사스환자가 확인될 경우 사스주의보를 내려 해당국입국자에 대해 검역을 실시하는 것을 비롯해 여행자제 권고, 방역 비상근무 등의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한단계 더 나아가 국내에 유입된 환자를 발견할 경우 사스 경계령을 내려 41개 격리지정병원을 바로 가동하고 국내 2차 전파가 확인되면 격리전담병원을 운영하기로 했으며 만약 2개 이상 병원으로 전파가 확대될 경우 총 동원령을 내리기로 했다.

보건원은 호흡기전염병이 빨라야 11월 이후 발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일단 추석 연휴에 국내외 여행시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매개체로 알려진 사향 고양이, 족제비 등 야생동물을 접촉하지 말 것을 적극 당부했다.

보건원의 권준욱 방역과장은 "올 상반기 국내에 사스 바이러스가 유입됐다는 증거가 없는 만큼 국내에서 사스가 자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며 "현재로서는 상반기에 환자들이 많이 발생했던 중국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국민들의 개인 위생 수준과 사스에 대한 경각심이 높기 때문에 해외에서 사스가 먼저 발생하는 등 상반기와 같은 형태로 발생 상황이 반복될 가능성이크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