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본회의서 법안통과 임박한 DKIST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디키스트)'법의 국회 본회의 통과가 임박해지면서 DKIST를 성공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노력에 관심이 일고 있다.

영남권 R&DB(연구.개발 및 사업화) 네트워크 허브 육성과 대구와 경북을 포함한 영남권 산업의 첨단화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DKIST 법의 제정보다 그 후의 실천과정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이다.

지역 전문가들은 "법안 통과 후 가장 시급한 일은 역할분담을 뚜렷이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역할은 정치권과 지방정부, 사회지도층 인사들과 전문가 그룹의 것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아무리 좋은 계획이라도 예산 뒷받침 없이는 실행에 옮기기 어려운 만큼 지역 정치권과 대구시, 경북도, 지역의 원로과학자 그룹, 사회지도층 인사들은 DKIST법 통과와 함께 예산확보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 반면 지역의 전문가 그룹은 'DKIST 설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기본계획을 완성시켜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입지'와 '연구분야' '조직구성' 등에서 정치적 이해관계나 '나눠먹기식'에서 벗어나 제한된 자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문가들은 "기본계획과 예산이 확보됐을 때 국내외에서 '적임자'를 찾아 월드컵 축구팀의 히딩크 감독처럼 신뢰하며 맡겨야 한다"며 "특정인의 정치적 활동과 성과들이 전문가들의 기획작업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또 인사를 결정하던 우리의 과거 관행은 대표적 '실패 메커니즘'의 하나였다는 사실을 잊지 말고, '정치적 활동'과 '기본계획 수립' '초대원장 인선 작업'이 엄격히 분리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