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테크노폴리스' 결실 맺어야

10년 뒤, 대구지역 신(新)성장 산업의 요람이 될 '대구테크노폴리스'가 마침내 가닥을 잡기 시작했다.

대구시는 8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으로부터 '대구테크노폴리스 및 연구개발 집적지구 조성 기본계획 구상'에 대한 중간 보고를 받고 공청회를 거침으로써 사실상 이같은 계획을 확정지었다.

대구테크노폴리스 기본계획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논란이 많았던 입지 선정 문제는 달성군 현풍면 신도시 일대 약 150만평이 최적지로 부각됐으며 연구개발 기능의 핵심기관으로 대구과학기술연구원(DKIST)이 그곳에 설립된다는 점이다.

특히 위천리 일대를 하이테크 공단으로 조성, 현풍 지역과 연계 효과를 노리는 것이 좋다는 계획은 지역 단합 차원에서 큰 수확이다.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지만 대구테크노폴리스가 제대로 조성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국토 동남권의 R&D 허브 기능을 담당하게될 것이다.

올해는 대전 '대덕 연구단지'가 설립 30년을 맞는 해이다.

아직 국내 최대의 연구단지로 자리잡고 있지만 대덕연구단지의 공과(功過)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다.

여기에다 21세기 패러다임에 걸맞은 '제2의 대덕단지' 조성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국가적인 기대 수요를 대구테크노폴리스가 자연스레 흡수한다면 프로젝트의 절반은 해결된 것이나 다름없을 것이다.

그러나 워낙 방대한 계획이다 보니 문제점도 없지않다.

하지만 대구테크노폴리스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사업인 만큼 유리한 점을 부각시켜 나가면 그렇게 어려운 작업은 아닐 것이다.

이제 대구시는 지역민과 함께 대구테크노폴리스 탄생에 앞장서야한다.

근거 법률을 마련하는 등 제도적 장치를 서둘러야하고 중앙 정부와 긴밀하게 협조하는 발전적 전략을 세워야한다.

특히 기존 전통산업인 섬유업계와의 마찰을 줄이면서 대구테크노폴리스가 결국은 지역 전 업종에 두루 파급효과가 미치는 미래 산업임을 인식시켜야한다.

지역민들의 단합된 컨센서스가 가장 중요함은 두말할 나위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