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이 떠내려간 뒤 복구 지원비는 고사하고 단 한푼의 수해 위로금도 받지 못했으며 언제 지급하겠다는 얘기조차 없습니다".
태풍 매미로 주택이 유실되는 피해를 입은 정종대(78.대구 달성군 유가면 용리)씨는 노부부가 1개월째 컨테이너 생활을 하는데도 위로금과 복구비 지원이 되지않자 분통을 터트렸다.
정씨는 "정부에서 이재민 불편을 덜기 위해 특별위로금 500만원과 복구비 1천400만원, 융자금 2천100만원 등을 먼저 지원하고 나중에 정산하는 '선(先) 지급 후(後) 정산' 방침을 밝혔으나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날씨는 추워지는데 걱정이 태산"이라며 한숨을 몰아쉬었다.
주택이 유실.반파된 유가면의 15가구와 침수된 48가구 등도 정씨처럼 복구비 지원을 받지 못해 발을 구르고 있다.
농경지 유실과 침수 피해를 당한 농민들도 조기에 위로금과 복구비를 받지못해 답답하기는 마찬가지.
800평의 비닐하우스가 망가지고 전답 1천400평이 침수된 방규복(46.달성군 구지면 오설리)씨는 "온갖 정성과 땀을 흘린 농작물의 수확을 앞두고 날벼락을 맞아 눈앞이 캄캄한 상황에서 그나마 국비 지원과 저리 융자금을 기대했으나 아직까지 나오지 않고 있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무려 농경지 37만여평이 침수된 구지면 피해 농가에도 복구비가 지급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정부의 복구비 '선지급' 약속과 달리 수재현장에서는 위로금과 복구비 지원이 제대로 안돼 수재민들을 두번 울리고 있다.
대구 달성군 경우 정부합동조사에서 결정된 사유시설 피해 복구비(위로금 포함) 62억원 중 현재까지 선지급 형태로 확보한 예산은 51억원이나 도로, 하천 등 공공시설의 응급복구비 등을 빼면 실제 수재민들에게 지급될 금액은 40여억원에 불과하다.
더욱이 조기에 지급돼야 할 구호 및 위로금은 정부조사에서 36억원으로 결정됐으나 9일 현재 21억원만 배정돼 수재민들에게 선별 지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유실된 도로, 하천, 수리시설 등 달성군 공공시설 항구복구비 670억원의 예산확보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 문희찬 달성군 건축담당은 "정확한 피해조사와 수재민 통장 계좌를 파악하느라고 수재민들에게 지원이 늦어지고 있으며 조속히 지급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시 전역의 사유시설 피해액(정부 조사) 138억원 중 114억원의 정부 예산이 배정된 상태라고 밝혔다.
강병서기자 kbs@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