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연합뉴스) 중국이 러시아,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번째로 15일 유인우
주선 발사에 성공함으로써 우주시대의 개막을 선언하고 우주강국 클럽에 진입했다.
중국 최초의 유인 우주선인 '선저우(神舟) 5호'의 발사는 대외적으로는 자국 의
과학.기술력을 과시하고, 대내적으로는 공산당 영도와 중국식 사회주의 체제의 우수
성을 선전하고 민족주의를 고취하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서세동점(西勢東漸)시기에 겪은 반(半) 식민지의
수모를, 정치.외교적으로는 지난 97년 7월1일 홍콩의 주권회귀를 계기로 말끔히 털
어버렸다면, 이제 미국과 옛소련에 이어 인간을 우주에 보내 서방의 과학.기술에 대
한 열등감을 씻을 수 있는 전환점을 마련했다.
사실 중국의 유인우주선 발사는 옛소련의 유리 가가린이 1961년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세계 첫 우주인이 된지 42년만에, 미국이 69년 달착륙 유인 우주선 발사에 성
공한지 34년이나 뒤진 시도지만 중국 전역은 온통 환희와 흥분에 휩싸였다.
세계에서 3번째로 '우주 클럽'에 가입했고, 앞으로 허블망원경 발사, 달 탐사와
달 착륙에 이어 우주정거장 건설, 화성 탐사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인 우주개발시대의
서막을 열었기 때문이다.
누구보다 감격스런 사람은 장쩌민(江澤民) 당.국가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이다. 중
국은 1970년 첫 위성인 둥팡훙(東方紅)을 발사하고 우주개발에 나섰지만, 정작 1992
년 장쩌민 당시 총서기겸 국가주석의 '프로젝트 921'로 본격적인 우주개발이 시작됐
다.
지난 1957~1964년 집권한 옛소련의 후루시초프가 미국의 기술적,상업적 우위를
만회하기 위해 우주개발에 국력을 집중, 10여년간 우주경쟁에서 미국을 앞섰던 선례
에 비견되고 있다.
중국의 우주클럽 가입은 우주개발의 다극화 시대를 예고한다. 냉전시대 미.소간
우주개발 경쟁은 옛소련의 붕괴로 막을 내리고 미국 독주시대로 들어섰지만 우주개
발에 이미 발을 내디딘 유럽연합(EU), 인도, 일본의 분발을 촉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전 세계 우주개발비의 80%를 사용하고 있는 미국도 중국의 부상에 경계의 눈초
리를 보내는 한편 각오를 새로이 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어 인터넷신문인 둬웨이(多維)는 14일 '선저우5호 발사: 한국 환영, 일.인
도 우려' 제하의 분석 기사에서 중국의 우주선 발사가 일본과 인도에 안보상 우려를
제기함으로써 양국이 미사일 방어능력 제고에 진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의 저명
한 군사분석가인 마에다 데쓰오는 "중국의 유인우주선이 당장 일본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부득불 미사일 방어능력을 높여야 할 것"으로 분석했다.
인도 뉴델리 국방연구원의 한우다이 바스카 부원장도 "인도는 (영토분쟁 경험이
있는) 라이벌 중국의 역량 강화 국면을 감시해나가야 한다"고 경계를 표시하면서도
"양국이 직면한 도전은 상호간 건전한 경쟁관계를 지속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인우주선 발사에는 또 정치적 이유가 과학.기술력 과시 못지 않게 크다는 분
석도 지배적이다. 중국이 각종 현안이 많은 데도 연간 20억~30억달러의 예산을 쏟아
가며 마침내 유인우주선 발사에 성공했다는 점에서다. 국가 대사의 경우 수 년, 때
로는 수십년 전부터 준비하는 중국 지도부 특성을 비춰보면 선저우 5호 발사일을 제
16기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 (16기 3중전회) 직후로 잡은 점은 의미심장하다. 국
가 최고지도자인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이 14일 3중전회 폐막 후 즉각 발사기지로
날아간 것도 고도의 정치적 행위로 해석된다.
어쨌든 유인우주선 발사의 성공은 제2의 개혁.개방을 선언한 16기 3중전회의 축
가를 부른 셈이 됐다. 또 공산당의 주도 아래 채택한 사회주의 시장경제가 비약적인
경제 성장은 물론 과학.기술에서 기념비적 성과를 일궈낼 수 있다는 체제 선전효과
를 극대화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