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고속철 개통으로 인한 대구공항의 기능위축을 막기위한 민.관대책기구가 만들어졌다는 소식은 다행스럽기도 하지만, 한편으로 추락하는 대구의 위상을 보는 것 같아 안쓰럽다.
대구시와 대구공항공단, 상공회의소, 대한항공.아시아나 항공사, 관광협회, 세관 등 9개 기관.업체 대표들은 6일 '대구국제공항 활성화 추진협의회'를 구성, 공동으로 대책마련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대구공항 활성화 추진협은 우선 현재 모색 중인 일본 도쿄와 후쿠오카, 중국 광저우, 필리핀 마닐라 등 4개 국제선 유치를 적극 추진하고, 홍콩 싱가포르 노선도 개발해 대구공항을 중.단거리 국제허브 공항으로 육성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내년 4월 고속철이 개통되면 대구공항의 국내선 이용객이 65% 이상이 감소, 적자운영의 대구공항공단의 경영압박이 심화 돼 공항 기능유지가 위태롭게 된다는 지적은 지금까지 여러번 거론 돼 왔다.
그런데도 대구시를 비롯한 유관 기관들이 대책마련에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뒤늦게나마 공동 대응키로 한 것은 여간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문제는 대구공항 국내선 운행이 감소하는 만큼 국제선을 늘려 활성화 하겠다는 방침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걱정스런 면이 없지 않다.
국제노선이 생긴다고 해서 그에 상응하는 만큼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리란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구공항과 경쟁관계에 있는 김해공항은 현재 국제선 취항 편수가 17편으로 대구공항의 7편보다 10편이 많아 유리한 입장에 있다.
여기에다 증축중인 국제선 청사가 2005년 완료되고, 부산.진해 경제자유특구가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대구공항은 더욱 불리한 상황이 될 것이다.
사실 항공수요의 증가는 지역경제력과 직결된 문제여서 시민들의 이용을 권장한다고 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
하지만 국제선 활성화로 방향을 잡은 이상 대구공항 활성화 추진협은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고, 시민들도 관심과 애정을 보여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