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분권시대 지역혁신' 정책 토론회

'이제는 지역 혁신이다'.

대구사회연구소(소장 김규원)와 한국지역사회학회(회장 김형기)는 9일 오후 1시부터 경북대 본관 5층 회의실에서 '지방분권시대 지역 혁신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지역 혁신을 위한 혁신 주체의 역할과 지역혁신협의회 구축 방안을 중점 논의하는 이번 정책토론회에는 대구를 비롯해 부산, 광주 등 전국 8개 시.도의 연구자 및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지역 혁신을 위한 지역 행정의 역할과 혁신 과제'를 발표하는 박광국(영남대 행정학).이종열(경일대 행정학)교수는 논문에서 "현재의 지역 혁신체계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의 의식개혁보단 너무 하드웨어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초광역적인 현안사업에 있어 대구와 경북간 자체 조정을 먼저 시도하고, 여의치 않을 경우에 중앙정부에 의한 조정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는 "지역 사회(대학을 포함), 지역 산업, 시민사회 등이 모두 지역 혁신의 공동주체가 돼야 한다"며 "'지방정부혁신위원회'를 구성, 여기에서 지방정부의 혁신 대상을 분석하고 평가해 혁신 전략을 수립해 정부에 건의하고, 사후점검 및 평가를 담당해야 한다"고 밝혔다.

토론자로 나서는 권오상(상주대 행정학) 교수는 "지역의 분권과 혁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분권이 먼저 이루어져서 지방자치의 토양이 형성돼야 한다"며 "또한 공무원의 자질향상과 교육 훈련을 통해 자치의 능력을 갖추고, 지역혁신협의체의 상설화와 법적 제도적 뒷받침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누가 혁신의 주체를 맡는가 하는 점 때문에 혁신이 논의에서만 그치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라며 "지역의 정치지도자들은 혁신을 상시 지원하는 협의체를 실질적으로 구성.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덕률(대구대 사회학) 교수는 '지역 대학의 역할과 혁신 과제-지방대학 문제의 세 차원과 정책 대안' 논문에서 "참여정부가 선보이고 있는 지방대학 문제에 대한 처방은 여전히 한계가 있어 보이고, 지방대학의 문제들을 흡족하게 해결해 줄 것으로 낙관하기도 힘들다"고 지적했다.

지방대학은 재정 및 도덕성, 정체성에서 위기에 처해 있다고 진단한 홍 교수는 "기존의 산업.경영.기술만 아니라 모든 학문 분야와 지역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지방대학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토론회에서는 서정해(경북대 경영학) 교수가 '지역 기업의 역할과 혁신 과제', 류한호(광주대 언론학) 교수가 '지역 언론의 역할과 혁신 과제'를 각각 발표한다.

또 '지역혁신협의회, 어떻게 구성하고 무엇을 할 것인가'를 주제로 종합토론을 벌인다.

김규원 소장은 "지방분권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가운데 이제는 지역 모든 부문에서 자기변화를 위한 노력 또한 뒤따라야 한다는 당위론에서 '혁신'이 주제가 되고 있다"며 "지역 혁신을 위한 실천대안을 우선 경제.자치행정.대학.언론 분야와 관련지어 찾아보기 위해 토론회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