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의 큰 섬으로 이뤄진 일본열도. 가장 북쪽에 있는 홋카이도(北海島), 가운데 긴 섬이 혼슈(本州), 혼슈 옆의 작은 섬이 시코쿠(四國), 그리고 가장 남쪽에 규슈(九州)가 있다.
규슈는 또 쓰시마(對馬島)를 비롯해 남쪽으로 아마미오시마(奄美大島), 오키나와(沖繩) 등 1천400여 개의 작은 섬들을 아우르고 있다.
규슈와 시코쿠를 남쪽으로, 혼슈를 북쪽으로 양 섬 사이를 가로지르는 일본의 지중해, 세토나이카이(瀨戶內海)가 해상교통의 대동맥을 이루고 있다.
1천500여년 전, 금관가야(김해)와 아라가야(함안)는 물론 백제.신라를 뒤로하고 왜와의 해상 교역권을 장악한 대가야. 당시 대가야는 금(동)관 등 장신구, 토기, 철을 일본열도에 뿌렸고, 야광조개와 스에키(須惠器;왜 토기), 바람개비 모양 청동기 장식(巴形銅器) 등 왜 문물을 받아들였다.
대가야 유물은 왜 야마토(大和) 왕권의 근거지인 나라(奈良)와 오사카(大阪)를 향해 흘러들었다.
특히 일본열도의 서쪽으로는 규슈 지방의 후쿠오카(福岡), 구마모토(熊本), 사가(佐賀), 가고시마(鹿兒島)현, 시코쿠 지방의 에히메(愛媛)현에 집중됐다.
그렇다면 일본열도에 나타나는 대가야 유물은 도대체 어떻게 전해졌을까. 경북대 박천수(고고인류학) 교수는 쓰시마에서 동해와 세토나이카이를 잇는 교통로 주변에 유물이 집중 출토되는 점에 주목, 대가야와 왜 사이의 활발한 교역활동의 결과로 분석했다.
즉, 대가야의 교역선이 세토나이카이를 헤치고 들어가 왜의 각 세력에 직접 문물을 전파했다는 것.
반면, 대가야에 자주 드나들었던 왜인이나 왜로 옮겨간 대가야인들(渡來人)이 전한 문물로 보는 시각도 일본 학계에 존재하고 있다.
이는 대가야 토기가 왜의 집단 유적지보다 무덤 속에서 주로 나오고 있다는 점을 그 근거로 들고 있다.
시코쿠 지방 도쿠시마(德島)현 도쿠시마대학의 사다모리 히데오(定森秀夫) 교수는 에히메현 이마바리(今治)시 가라코다이(唐子臺) 80지점에서 나온 토기를 예로 들어, "동일 기법으로 만든 뚜껑있는 굽다리접시가 2점 출토된 것으로 미뤄 유물 주인공은 도래인일 개연성이 높다"고 말했다.
규슈 지방의 서쪽 허리에 해당하는 구마모토현 야쓰시로(八代)시 류호쿠(龍北)정. 지역 사무소에서 5km쯤 떨어진 산기슭에 길이 62m의 대형 무덤이 솟아 있다.
'무노미야구라(物見櫓) 고분'. 앞쪽이 직사각형, 뒤쪽이 원형인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이다.
한반도에서도 비슷한 양식이 일부 보이는 전방후원분은 200년대 말부터 500년대 말까지 축조된 전형적인 왜 지배층 무덤이다.
'망루'를 뜻하는 이 무덤에 올라서니 200여년 전 에도(江戶)시대에 바다(八大海)를 메워 만든 시가지가 한눈에 펼쳐졌다.
왕이나 호족이 묻힐 만한 명당이었다.
지난 95년과 96년 류호쿠정사무소가 발굴한 이 무덤에서는 스에키를 비롯한 왜계 유물과 함께 대가야 양식 목짧은 항아리(短頸壺) 조각 2점, 손잡이 있는 그릇(把手附椀) 조각 1점이 나왔고, 금 귀고리 1점이 채집됐다.
무덤 바깥에서 발견된 금 귀고리는 도굴과정에서 흘린 것으로 추정됐다.
한 쌍으로 묻혔을 귀고리의 다른 한 쪽은 어디에 있을까.
이마다 하루요(今田治代) 류호쿠정 교육위원회 문화재위원은 "위치나 규모, 유물로 봐 500년대 초반 규슈의 유력한 두 호족 중 한 일족의 무덤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마다 위원은 야쓰시로 주변에 당시 토기를 만든 공인의 취락지나 무덤이 나타나지 않는 점을 들어 대가야 양식 단경호와 파수부완이 왜인이 아니라 한반도에서 직접 만든 뒤 전해진 유물로 분석했다.
야쓰시로시 류호쿠정의 또 다른 무덤, '오오노이와야(大野窟) 고분'. 가로로 입구를 낸 횡혈식(橫穴式)인 이 무덤은 현실(玄室) 길이가 5m, 폭 3.5m로, 왜 무덤 중 천장(높이 6m)이 가장 높은 규모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이 속에 뚜렷이 남아 있는 널이 경남 의령(부림면)에서 확인된 경산리 고분의 돌널(石棺)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다.
경산리 고분은 현실 안 거대한 돌널, 문지방 돌, 봉분(封墳)의 지붕 덮개돌(楫石)과 구분쌓기(段築) 등으로 봐 왜계 무덤 양식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도대체 야쓰시로시의 오오노이와야 무덤과 경남 경산리 무덤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야쓰시로시에서 북쪽으로 20km쯤 떨어진 타마나(玉名)시 '텐자야마(天座山) 고분'에서는 대가야 양식 귀고리가, 타마나시 기쿠수이(菊水)정 '에다후나야마(江田船山) 고분' '즈카보우즈(塚坊主)'에서는 대가야 양식 귀고리와 F자모양 말 재갈 등이 나왔다.
F자 모양 재갈과 칼끝 모양 말띠드리개(杏葉)의 조합은 경북 고령과 경남 합천(옥전)을 중심으로 한 대가야권 말장구 양식이다.
오사카를 기준으로 일본열도 서쪽에는 규슈 상당수 지역, 시코쿠의 에히메현, 혼슈의 시마네(島根)현과 와카야마(和歌山)현에 대가야 토기가 집중적으로 출토되고 있다.
규슈에는 후쿠오카현 무나카타(宗像)시 '이케우라(池浦) 고분' '이이모리(飯盛) 유적'과 구마모토현 지배층 무덤 5곳에서 굽다리 접시, 항아리 등 토기가 나왔다.
혼슈에서는 시마네현 하마타(浜田)시 '모리가소네(森 會根) 고분', 와카야마현 오오타니(大谷) 고분 등에서 원통모양 그릇받침(筒形器臺), 창, 말장구 등 대가야 위세품이 나왔다.
또 시코쿠의 경우 에히메현 세토나이카이 연안에서 대가야 토기가 쏟아졌다.
400년대 중반 이후 500년대 중반까지의 왜 유적지에는 금관가야, 아라가야, 신라, 백제계 유물을 합친 것보다 대가야 유물이 압도적으로 많다.
특히 제대로 발굴조사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일본열도 26개 지역에서 30종류 이상의 대가야 유물이 나왔다는 사실은 당시 대가야와 왜의 교역이 광범위하게, 또 활발하게 이뤄졌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김인탁(고령)기자 kit@imaeil.com
사진.안상호기자 shah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한동훈 이틀 연속 '소신 정치' 선언에…여당 중진들 '무모한 관종정치'
국가 위기에도 정쟁 골몰하는 野 대표, 한술 더뜨는 與 대표
비수도권 강타한 대출 규제…서울·수도권 집값 오를 동안 비수도권은 하락
[매일칼럼] 한동훈 방식은 필패한다
"김건희 특검법, 대통령 거부로 재표결 시 이탈표 더 늘 것" 박주민이 내다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