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방자치-대구.경북 DKIST 신경전 가열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KIST) 입지 선정을 놓고 달성군 출신의 대구시의원과 경산시 출신의 경북도의원이 서로 자신들의 지역구가 적지(適地)라고 주장하는 등 입지 선정을 두고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다.

비록 대구와 경북이 직접 맞붙은 것은 아니라고 해도 모양새는 좋지 않다는 지적이다.

당초 이 사업은 대구시와 대구출신 국회의원 등이 중심이 돼 추진, 국회에서 법이 통과돼 입지 선정 단계에 들어가 있다.

그러나 경북도에서 대구시와 공동보조를 취하자고 '끼어들면서' 문제가 불거졌다

이에 앞서 한방산업단지 조성과 관련해 경북도가 주도적으로 계획을 추진, 우선권을 주장했으나 대구시가 중간에 개입해 결국 대구와 경북이 공동 보조를 취하는 방향으로 큰 가닥을 잡자 경북도 일각에서는 상대적 박탈감도 없지 않았다.

때문에 이 사업에 대해서도 경북도 일각에서는 '우리도 함께 하자'며 손을 잡으려는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우선권을 주장하는 달성군과 대구시의 입장은 다르다.

입지선정부터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은 지금까지의 일을 일거에 무시하는 발상이라는 주장이다.

달성군의 입장에 선 대구시의회 박성태(朴成泰.달성) 의원은 지난 2일 시의회 시정질문을 통해 "세부 구상 및 설계라면 몰라도 연구원 입지를 포함한 기본구상부터 다시 용역을 준다면 이는 중복행정"이라며 "대형개발사업에 정치논리의 개입은 절대 금물"이라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어 "경북과의 협조를 주장하지만 심각한 위기에 처한 곳은 경북이 아니라 대구며, 최종 목표는 어디까지나 대구.경북만의 협력이 아니라 동남권 R&D 허브"라며 "경북도는 협력의 대상이지 주도기관이 아니므로 가타부타 이야기할 입장이 아닐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경북도 전체의 입장은 아니지만 경산 쪽의 주장도 만만치 않다.

경북도의 DKIST에 대한 입장은 조심스레 협력관계를 내세우고 있다.

경북도의회 황상조(黃相祚.경산) 의원은 16일 도의회 5분발언을 통해 "DKIST는 대구.경북을 포함한 동남권 전체의 연구개발 허브기능을 담당할 핵심연구기관으로 추진됐다"며 경산시가 최적지라고 주장했다.

황 의원은 이어 "대구.경북의 공동발전과 동남권 전체의 연구개발 허브로서의 기능, 산업기반과 연계한 입지를 물색할 경우 인프라가 잘 구비되어 동남권과의 원활한 연계가 가능한 경산이 최적지"라고 재차 강조했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