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신금속연구팀이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탄소나노튜브의 연속 제조공정 개발에 성공했다.
탄소나노튜브는 디스플레이 기기나 램프, 2차 전지, 반도체 등 전자 및 기계분야의 핵심소재다.
RIST 신금속연구팀 강홍원(45) 박사는 6일 "연간 10t 이상의 탄소나노튜브 연속 제조공정 기술을 개발, 대량 생산을 통해 가격을 대폭 낮추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RIST측에 따르면 강 박사가 개발한 방법은 기존 기술의 최대 단점인 촉매 미세화와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을 단일 공정으로 처리함으로써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켰다는 것.
강 박사팀은 촉매를 반응기(나노튜브 제조설비)에 연속적으로 투입해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고 다 자란 탄소나노튜브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한 뒤 이 공정을 연속 반복하는 방법으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기존 장치보다 설비투자비를 10분의 1로 줄일 수 있으며, 설비의 국산화가 가능해졌다는 점도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강 박사는 "기존 다중벽(多重壁) 탄소나노튜브는 g당 가격이 2~10달러 수준이지만 이번 시험설비를 사용할 경우 0.5달러 이하로 낮출 수 있고 100t급 상업화 설비를 갖추면 0.1달러 이하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RIST측은 이번 탄소나노튜브 대량생산 공정기술 개발이 낮은 생산성과 높은 가격대라는 난제를 일시에 해결함에 따라 향후 국내 나노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