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도 우표발행과 일본의 2중성

일본이 한국의 독도(獨島) 디자인 우표 발행에 대해 이의를 제기, 외교분쟁의 불씨를 일으키고 있다.

정보통신부 산하 우정사업본부는 오는 16일 독도의 자연을 소재로 한 4종류 각 56만장의 우표를 발행할 계획이다.

독도 우표는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한.일간의 미묘한 갈등으로 인해 지난 1954년 이후 한번도 발행된 적이 없다.

7일자 요미우리 신문 인터넷판은 일본 총무청이 지난 해 9월 독도우표 발행 중단을 요구한 사실을 상기시키고 있다.

당시 일본 총무청은 독도 우표 발행이 만국우편연합(UPU)이 내걸고 있는 국제협력 정신에 위배된다는 입장을 보였었다.

일본의 폐쇄적 국수주의는 상식화된 일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우표 발행 중단 요구는 예견된 일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들이 내세운 '국제협력정신'이라는 대목에 이르러서는 고개를 내젓게 된다.

후안무치한 주장이기 때문이다.

일본 정계지도자들은 걸핏하면 반역사적 우경화 발언으로 한국을 자극하고 있다.

"한일합방은 한국이 원해서 이뤄진 것이고, 그 잘못은 당시 조선인에 있었다"는 등의 망언을 서슴지 않았다.

불과 며칠 전에는 고이즈미 총리가 2차대전의 전범들이 안치된 야스쿠니 신사를 참배해 주변국들을 분노케 했다.

어디에서도 건전한 국제협력정신을 찾아볼 수 없다.

일본은 민감한 현안이 있을 때마다 이중전략을 구사해 왔다.

자신들이 수세에 몰리면 고유한 전통과 관습을 내세우고, 대립적인 상황에서는 국제협력을 내세운다.

국제사회가 공감하는 명분을 외면한 채 자국의 이익에만 집착하는 고도 근시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독도 우표는 예정대로 발행돼야 한다.

일본의 항의에 대한 반발로서가 아니라, 우리 땅을 우리가 지킨다는 민족적 의무감으로써 독도를 우리 국토의 상징으로 삼아야 한다.

우표만 발행할 것이 아니라, 독도 영유권이 대한민국에 있음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리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일본이 더 이상 역사왜곡, 영토왜곡을 못하도록 하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책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