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 고구려 유산신청 싸잡아 비판

"북한이 고구려 벽화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신청한 것은 자국의 정치.외교적 지위를 고려한 비학술적 행위다".

고구려사를 둘러싼 한-중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중국 국책기관이 북한의 고구려벽화 세계문화유산 등재 신청 및 남북한의 고구려사 연구경향을 비판한 책을 최근 출간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변강사지연구중심(邊疆史地硏究中心)'이 지난해 10월께 펴낸 '동북변강연구시리즈' '고대 중국 고구려 역사속론'에는 한국과 북한의 고구려연구의 비학술적 경향을 비판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변강사지연구중심'은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국사에 편입하기 위해 추진중인 '동북공정' 프로젝트의 책임기관.

서길수 고구려연구회 회장은 "최근 입수한 '동북변강연구시리즈' 고구려편에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전문가위원회 마다쩡(馬大正) 위원장이 남북한의 고구려 연구를 비학술적이라고 매도한 글이 실렸다"고 밝혔다.

'고대중국고구려역사속론'은 고구려사를 중국사의 일환으로서 포괄적으로 다룬 학술서로 지난 1997년 출간된'고대중국고구려역사'의 속편에 해당한다.

문제의 글은 책의 서문에 포함됐다.

마위원장은 서문에서 "남북한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중국에 복속돼 있었지만, 일제의 식민통치를 받으며 민족 의식이 깊어졌다"며 "분단 이후에는 단일 민족 개념을 형성하기 위해 '대고려민족주의'를 주창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의 고구려 연구는 "1960년대의 연구에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면서 "고구려 벽화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신청한 것도 순수한 학술적 의도가 아니라 정치.외교적 이익을 계산한 행위에 불과하다"고 폄하했다.

남한의 경우 △70년대 재야사학자들의 고대사 왜곡 파동과 △군사정권 시기의 대북팽창 역사관 등을 비학술적 연구 행위로 제시했다.

그는 "1983년 육군본부에서 발행한 정신교육서에는 '잃어버린 만주를 회복하는 것이 민족의 과제'라는 등의 국수주의적 발언이 가득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