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선자금 노.정은 깨끗한가

민주당이 전날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대선자금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의혹을 제기한 데 이어 31일에는 대선전 당내 경선에서 불법 자금 모금.사용 문제를 지적하고 나섰다. 지지도 하락에 고심하던 민주당이 한화갑(韓和甲) 전 대표의 구속영장 청구를 계기로 여권에 대한 파상공세로 전환한 것이다.

경선자금 논란은 한 전 대표의 경선자금 10억원 수수설에서부터 시작됐다. 한 전 대표는 지난해 대통령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경선 당시 거액을 모금해 선거자금 사용한도인 3억원을 초과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이를 두고 한 전 대표와 민주당은 즉각 '편파시비'와 '야당탄압'이라며 역공하고 나섰다. 한 전 대표는 30일 저녁 긴급소집된 확대간부회의에서 "김원기(金元基) 전 의장이 '민주당을 탈당, 교섭단체를 구성한 뒤 통합하자고 했지만 이를 거절하자 동서남북으로 나를 흔들며 여러 카드를 가지고 협박을 해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노무현 대통령을 포함해 여야 당내 경선에 참여한 모든 사람의 경선자금을 수사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열린우리당 입당 권유를 뿌리친 데 대한 정치보복밖에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전 대표가 이같이 주장하며 농성에 돌입하자 당 차원의 지원사격이 이뤄졌다. 노무현 대통령과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 두 사람에게 화살을 돌린 것.

민주당의 한 인사는 "지난 경선에서 돈을 가장 적게 썼다는 김근태(金槿泰) 의원도 6억원 가량 사용했는데 노.정 두 사람이 과연 깨끗할 수 있는가"라며 "두 사람은 도중하차한 나머지 대선주자와는 달리 완주했기 때문에 비용을 가장 많이 사용한 분들 중 한 명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열린우리당도 즉각적으로 반박했다. 김원기 전 의장은 "그런 사실(회유)이 전혀 없다"며 "궁지에 몰린 민주당이 최후의 술책으로 아무 의혹이나 다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검찰의 활동을 보면서도 정치보복이니 뭐니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경선자금 논란에 대해서도 정 의장은 "모든 경선 출마자들을 죄악시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이라며 "법적으로 하등의 문제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이어 "경선을 끝까지 치르느라 운동원 수고비도 제대로 못 줬는데 경선자금으로 10억원을 받은 경우와 비교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한 전 대표에 대해서는 "훌륭한 분인 줄 알았는데 안타깝다"고 부연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