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내 산림 탄소흡수율, 세계 최고"

나라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

량을 줄이기 위해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산림의 '탄소흡수율'이 세계 최고라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에 발표됐다.

포항공대 환경공학부 장윤석 교수팀은 산림청의 산림재적(나무의 부피) 자료(19

54~2001년)를 기초로 국내 산림의 '탄소흡수량'을 국제기준에 맞춰 분석한 결과, 헥

타아르(ha)당 연간 흡수량(Mg)이 미국(0.5), 유럽.중국(각 0.3)보다 훨씬 높은 1.5M

g에 달했다고 9일 밝혔다.

지역별 산림의 탄소 흡수량은 전북(2.3), 경남(2.1), 전남(1.6), 제주(1.4), 경

기.강원(각 1.0), 충남.충북(각 0.9) 순이었다.

숲이 우거진 강원도나 제주도보다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의 탄소흡수율이 높은

것은 강원도처럼 산림의 연령이 높고 안정돼 있는 곳보다 30~40년생 나무들의 비율

이 높은 곳에서 탄소 흡수력이 높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또한 지난 2000년 강원도 동해안에 대형산불이 발생했을 때의 탄소 배

출량을 조사한 결과, 이산화탄소 650Gg, 일산화탄소 47Gg, 메탄 3Gg 정도가 발생해

전체적으로는 이 산불로 약 200Gg의 탄소가 배출된 것으로 집계했다.

이는 2000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 총량의 0.2% 정도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관련 저명 국제저널(Global Biogeochemical Cycles, Envir

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두 곳에 게재됐다.

장 교수는 "우리나라는 화석연료 때문에 세계에서 10번째로 많은 양의 이산화탄

소를 배출하고 있다"며 "앞으로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면 우리도 온실가스 배출량을 9

0년의 5.2% 수준으로 낮춰야 하는 상황에서 국내 산림의 탄소흡수량이 세계 최고 수

준으로 분석된 것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