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무역협정(FTA)은 시간이 갈수록 체결 및 발효 건수가 빠르게 늘고 있으며, 특
히 90년대 이후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무역기구(WTO) 통계에 따르면 지난 55년부터 60년 사이 3건의 FTA가 발효됐
다고 한국무역협회가 11일 밝혔다.
이후 61년부터 70년까지 3건이 새로 발효됐고, 71-80년 15건, 81-90년 10건이
더 발효돼 이 때까지 발효된 누적 협정 건수는 31건에 달했다.
그러나 90년대 들어 FTA가 봇물터지듯 쏟아지면서 91년부터 95년까지 5년간 3
4건이 발효됐고 96년부터 2000년까지는 무려 91건이 발효돼 누적 발효 건수는 156건
으로 불어났다.
2001년부터 작년까지도 33건이 새로 발효된 데 이어 올 1월부터는 미국-싱가포
르, 미국-칠레, 대만-파나마, 중국-홍콩, 중국-마카오, 칠레-유럽자유무역연합(EFTA)
등 6개 협정이 추가로 발효됐다.
주요국의 FTA 건수(2003년말 체결 기준)를 보면 EFTA가 35건으로 가장 많고 우
리나라의 첫 FTA 대상국인 칠레가 34건, 멕시코 32건, 유럽연합(EU) 31건, 싱가포르
17건 순으로 집계됐다.
또 미국, 아세안, 태국이 각각 10건의 FTA를 맺었고 캐나다가 5건, 호주, 뉴질
랜드, 중국이 각 2건의 협정을 체결한 상태이며 일본, 대만, 한국 등은 1건씩 협정
을 맺었지만 한국은 유일한 협정인 한.칠레 FTA를 아직 발효시키지 못하고 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148개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 가운데 FTA를 한 건도 맺
지 않았거나 발효시키지 못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몽골뿐"이라며 "FTA 대책
은 협정 서명 이후 졸속으로 이뤄져서는 안되며 추진 과정에서 충분한 논의를 거쳐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