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승연 누드', 돈벌기 힘들 듯

탤런트 이승연의 '종군위안부' 테마 영상 프로

젝트가 들끓는 비난 여론에도 불구하고 강행돼 시중에 나오더라도 상업적 실패로 끝

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승연과 로토토, 네띠앙엔터테인먼트 등이 '누드가 아니다'고 주장해도 부인하

기 어려운 대목인 상업적 프로젝트라는 점이 아픈 역사를 상업주의에 이용한다는 비

난을 부른 까닭이다.

로토토는 12일 기자회견에서 '종군위안부' 테마 영상제작 프로젝트를 공개하면

서 "3월부터 전략적 제휴사인 모바일 서비스업체 시스윌의 독점서비스로 공개하겠다.

모바일과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약 100억원대의 매출이 예상된다"고 기대 수위를 밝

혔었다.

그러나 기대 수익의 한 축인 모바일 유료서비스가 불가능해졌다.

SK텔레콤, KTF, LG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가 사회적 파문이 확산되고 있는 '종

군위안부'를 테마로 한 이승연 영상물을 가입자들에게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기 때

문이다.

누드 프로젝트 등 그동안 제작된 영상물은 인터넷과 모바일 등을 통해 유료 서

비스됐는데 총매출의 절반 이상을 모바일 유료서비스가 차지한다는 게 업계의 일반

적인 추정이다.

인터넷 서비스도 사정이 여의치 않은 형편이다.

로토토 측은 이 영상물을 서비스할 인터넷 사이트를 소개하지 않았으나 비등한

비판 여론을 무릅쓰고 서비스하겠다고 나설 인터넷 사이트를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

로 예상된다.

로토토가 관계사라고 밝힌 인터넷 포털사이트 네띠앙이 이 프로젝트에 직접 참

여하지 않았음에도 회원들이 무더기로 탈퇴하는 움직임은 인터넷 사이트들이 이미지

악화를 감수하고 얼마되지 않은 이익에 서비스 제공을 결정하는 것을 위축시키고 있

다.

네티즌들의 거센 비난 여론을 감안하면 유료 서비스를 하는 인터넷 사이트 서버

공격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이다.

이는 로토토 측 등이 2,3차 촬영을 마치고 출시를 강행하는 의지를 갖고 있다고

해도 막상 서비스할 수단을 못 구해 정상적인 서비스가 어려운 상황이 될 공산이 크

다.

이번 이승연 '종군위안부' 테마 영상 프로젝트에 대한 비판은 일본군 위안부 문

제를 상업주의에 이용한다는 측면과 연예인 누드비즈니스에 대한 곱지 않은 시각,

그리고 이러한 '누드 상술'이 별다른 여과 시스템없이 활개를 치는 데 대한 우려 등

이 얽혀 있다.

지난해 이후 성현아, 권민중, 이혜영, 김완선, 함소원, 황혜영, 이지현 등 연예

인 누드가 '스포츠 누드'니 '패션 누드'니 상품의 차별성을 내세워 마구 쏟아졌다.

여기에는 소속 연예인을 홍보하거나 돈을 벌기 위한 사업으로 '연예인 누드'를

집중 공략하는 연예기획사들의 전략과 함께 모바일, 인터넷 사이트 등의 오염된 상

술이 한몫하고 있다.

차제에 통신윤리위원회 등에서 통신을 타고 전달되는 콘텐츠를 여과하는 과정이

있어야 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