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崔대표 "전국구로 옮기겠다"

계속되는 당 지지율 저하와 서청원(徐淸源) 전 대표 석방으로 촉발된 한나라당 내분 사태에 최병렬(崔秉烈) 대표가 수습방안을 제시했다.

17일 낮 서울 프레스 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최 대표는 "한나라당 개혁의 핵심은 물갈이"라며 수습안을 '개혁공천 의지'로 대신했다.

대표의 리더십을 문제삼는 일부 우려에 대해 이른바 '대표권한 강화'로 맞선 셈이다.

그는 대표 주도의 선대위 조기발족을 포함해 일부 당직 개편, 조직 슬림화, 당헌.당규 개정 등을 통한 제2 창당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또 부패정당 이미지를 털기 위해 여의도 중앙당사와 천안 연수원을 매각, 한나라당이 받은 불법대선자금을 국민에게 돌려주겠다는 뜻도 피력했다.

그는 "국민에게 용서만 구할 수 있다면 광화문 네거리에서 석고대죄라도 하고 싶었다"며 지난 4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언급했던 표현을 다시 써가며 불법 대선자금을 사과했다.

또 "자기희생을 소홀히 한 채 부정부패 인사의 우산이 되기도 했다"며 당의 잘못된 과거사를 반성하기도 했다.

최 대표는 그런 연장선상에서 '공천혁명'에 가까운 혁신적 공천 물갈이를 약속했다.

그러나 당내 소장파 등이 '자기 희생적 결단이 필요하다'며 요구한 총선 전 전당대회 개최나 대표직 사퇴 및 총선 불출마에 대해서는 거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총선에서 제1당에 오르지 못할 경우 정계은퇴를 하겠다" 고 이미 선언한 바 있기 때문이다.

대신 최 대표는 자신의 지역구인 서울 강남갑을 포기하고 전국구로 옮기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전국구 순번은 당 공천심사위 결정에 일임하겠다는 뜻도 전했으며 총선 결과에 책임을 지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그러나 최 대표의 이 같은 수습안이 당장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제2 창당 프로그램이 새로운 것이 아니며 눈길을 끄는 방안도 아니라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차떼기당'이란 오명을 뒤집어 쓰고선 총선을 치를 수 없다"는 절박함도 이날 최 대표의 수습안 속에는 없었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한 소장파 의원은 "최 대표나 당 지도부가 아직도 위기의 본질을 모르고 있다"면서 "지도부가 이런 식으로 대처하는 한 당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고 주장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사진:17일 오전 한나라당 국회 대표실에서 열린 상임운영위원회의에서 최병렬 대표등 참석자들이 당내 현안에 대한 대책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김영욱기자 mirage@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