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8 학생운동을 비롯해 해방 후 대구.경북에서 전개됐던 민주화운동의 유적에 대한 체계적 조명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 해 11월부터 '대구.경북지역 민주화운동 유적(지) 발굴을 위한 기초조사 사업'에 착수한 대구사회연구소(소장 김규원)는 27일 오후 1시 경북대 복지관 3층 교수회의실에서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정치, 노동, 농민, 문화 등 4개 분야로 나눠 해당 연구자들이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향후 유적 선정을 위한 최종보고서 작성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다음은 중간보고회 각 분야 발표 요지.
▲정치.통일.학생.시민운동 분야(김일수, 구경모)=대구.경북은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2.28학생운동을 비롯해 전국의 민주운동을 선도할 정도로 강한 면모를 가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5.16군사쿠데타 이후 유신체제, 5.18 민주항쟁기, 전두환 정권에 이르기까지 지역의 민주화운동은 몇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했다.
사적지로는 대구역 광장, 달성공원, 종합운동장, 수성천변, 옛 경북고등학교, 대구상업학교 강당, 옛 대구교도소, 옛 대구경찰서, 옛 민주민족청년동맹 사무실, 계명대 빌라도광장, 명덕로터리, 동성로, 중앙로 등을 들 수 있다.
▲노동운동(임채도)=해방 이후 대구지역은 섬유산업을 비롯해 당시 주요 산업이 집중된 지역으로서 어느 지역보다 노동자들의 계급적 각성이 높고, 진취적인 노조운동이 대규모로 발발한 지역이었다.
46년 10월 대구 10.1항쟁을 비롯해 대구를 시발로 한 교원노조운동, 대구택시노동자 총파업 시위사건 등은 전국적 투쟁으로 이어졌다.
사적지로는 80년대 노동야학의 중심지이자 노동단체 주요 집회 장소였던 가톨릭근로자회관을 비롯해 연대와 전진회관, 북비산네거리, 남선물산, 경북대학교 야외공연장, 옛 대구지방노동청 등이다.
▲농민운동(이재성)=1970년대 농민운동은 관료주의적 횡포에 대한 농민들의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전개됐다.
80년대 후반에는 농가부채 탕감, 외국 농축산물 수입 중단, 민주농정 쟁취, 그리고 군부독재 타도 등이 주된 구호였는데 이 시기 농민운동은 수입개방에 따른 농업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고, 독재정권과 외세에 맞서는 민중의 생존권적 투쟁의 성격을 띠었다.
사적지로는 안동 문화회관(안동 가톨릭회관), 안동 목성동 성당, 안동역, 안계 시장과 다인성당, 상주 서문동 성당, 영양 장터, 구미 선산 산동 골프장 등이다.
▲문화예술.교육.여성.학술.언론(윤규홍, 김성애)=80년대에 새롭게 부활된 교육운동에서 대구지역의 운동주체들은 눈에 띌만한 성과를 내놓았다.
특히 전교조의 모태라고 평가할 수 있는 YMCA 중등교육협의회에서 대구 경북 지역의 교사들은 핵심적인 활동을 전개했다.
이 시기 문화, 예술분야의 궁극적 관심은 사회 변혁에 있었으며 이론과 실천, 문화와 사회, 예술과 노동의 연계라는 입장을 원칙적으로 받아들였다.
사적지로는 천주교 대명성당, YMCA 회관, 대구초등학교 앞 대록양복점, 경북대학교 대강당 앞 광장, 옛 예술마당 솔 개관장소, 대구여성회 초기 사무실, 마가책방 등을 들 수 있다.
대구사회연구소가 민주화운동 유적 선정에 나선 것은 우리 나라 민주화운동에서 지역이 차지하는 공헌도가 매우 높다는 판단에서다.
연구소측은 "대구.경북은 2.28민주운동, 4월혁명기 통일운동, 교원노조운동, 노동운동, 학원민주화 운동, 박정희 정권 아래서의 통일운동, 반유신 반독재운동 등 다양한 운동의 출발점이자 한국현대사에서 맥락을 형성하는 대규모 저항의 현장"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에 따라 연구소는 지역에 산재한 민주화운동 관련 문헌과 현장을 조사.발굴하고, 인물을 찾아내 민주화운동 유적을 선정하기로 하고 5월까지 최종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이대현기자 sky@imaeil.com
사진:1950년대와 60년대 민주화운동 사적지로 거론되고 있는 옛 대구역광장(사진 위)과 대구상업학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