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해인사 사자문 안전위협

경남 합천군 가야면 법보종찰 해인사 초입의 사자문(獅子門).

기둥이 부서지고 허물어지기 일보직전인 데도 관계당국은 뒷짐만 진 채 방치하는 바람에 차량통행에 위협을 주는가 하면 관광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사자문은 지난달 28일쯤 암자 건립을 위해 원목을 가득 실은 트럭이 기계고장으로 눈길에 미끄러지면서 대형사고를 일으켰다.

중앙 기둥을 들이받는 바람에 붕괴 직전의 아슬아슬한 모습.

사고가 난 지 열흘이 지났는데도 안전을 위한 철거는커녕 재건축 여부에 대한 명쾌한 결론조차 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인사 일대가 명승 및 사적지로 지정돼 '풀 한포기, 나무 한그루 옮길 때도 관련법규에 따라야 한다'는 엄격한 규제에 묶여있기 때문이다.

합천군과 국립공원 가야산관리사무소 측은 지난 5일 신속한 철거는 물론 재건축 등을 위한 현상변경 의견서를 문화재청에 올렸지만 아직껏 현장조사조차 않고 있다.

재건축 문제도 의견이 분분하다.

"사자문은 문화재의 가치가 없을 뿐 아니라 해인사 가람 배치에도 별 의미가 없는 애물단지(?)다.

예산만 낭비하지 말고 이 참에 영원히 철거해야 옳다"는 주장들이 제기된 것.

사자문은 지난 1970년 해인사 일대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입장료 징수 등을 위한 목적으로 세워졌지만 여지껏 무용지물로 차량통행에 걸림돌만 됐다는 지적이다.

현재 매표소는 약 2km 아래 국립공원 경계지점으로 옮겨졌고, 몇해 전 초입에다 상징적으로 거대한 홍류문(紅流門)을 세웠기 때문. 뿐만 아니라 사자문은 폭이 좁고 낮아 대형 차량이 옆길을 가까스로 이용하는 등 엄청난 불편을 주었다.

해인사의 한 스님은 "다시 큰 문을 세워봐야 아무런 의미도 없다"며 "수년 후 도로 확장 등이 이뤄지면 다시 뜯고 지어야할 것이 뻔한 일"이라고 말했다.

또 주민 김모(58)씨는 "재건축은 차후문제"라며 "관련법규만 따지지 말고 대형사고가 터지기 전에 신속한 철거부터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합천.정광효기자 khjeon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