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본보 총선자문단 첫 모임

4.15총선 37일을 남긴 9일 본사가 위촉한 총선자문단이 3층 본사 회의실에서 상견례를 겸한 첫 만남을 가지고 17대 총선의 의미 및 신문 보도방향 등을 논의했다.

이날 모임에는 나태영 변호사, 임경호 대구상의 기획조사부장, 조광현 대구경실련 사무처장, 최경진 대구가톨릭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하세헌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등 5명이 참석했다.

김혜순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개인 사정상 불참했다.

참석자들은 이날 이구동성으로 미디어 선거의 비중 확대가 이번 총선의 가장 큰 특징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진협 편집국장은 이 자리에서 "선거보도의 공명정대성을 증진하기 위해 더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며 "선거가 끝나면 항상 흠집이 나기 마련이고 독자의 흥미 위주 보도 경향에도 얼마간은 맞춰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이해를 구했다.

하 교수는 이번 선거의 의의를 "정치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슈에서도 지역주의나 세대교체 등이 될 것인 만큼 언론 보도도 정치불신이 심각한 점을 감안, 새 정치세력이 부각될 수 있는 측면으로 유도하는 형태의 보도가 이뤄졌으면 한다"고 주문했다.

하 교수는 이어 "고인 물, 보수 일변도, 정치 불신, 부패 초래라는 부정적 측면을 시정, 이념에서도 견제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하 교수는 특히 경마식 보도를 가급적 자제하고 테마별, 이슈별로 정리해서 보도하는 방안도 강구해 봄 직하다는 주문도 곁들였다.

보도 경향과 관련, 최 교수는 "'미디어 감시 국민연대'도 출범하는 등 미디어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어느때보다 높아졌다"고 평가한 뒤 "미디어의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국민 의식도 변화하고 있다"며 "공정성만 기한다고 기계적 공정성에만 신경을 쓰는 것은 오히려 불공정이다"고 비판했다.

최 교수는 이어 "이력서를 옮겨 놓은 듯한 보도 즉 '프로필 저널리즘'은 연고주의 학연.지연.혈연만 강조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조 처장은 정당투표제 도입의 의미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강정책이나 공약 등의 비교에 보도의 비중을 둬야 한다"며 "지역구 출마 후보만이 아니라 정당의 정책 관계자들의 대담이나 인터뷰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조 처장은 또 "언론이 적극적으로 쟁점과 이슈, 테마별로 문제를 제기, 비교 보도하는 방식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조 처장은 통상적인 국회의원상에 대한 교정도 필요하다고 했다.

지역 이익만 챙기는 것이 아니라 국정과 관련한 객관적, 보편적, 전국적 가치에 대한 평가에도 비중을 둬야 한다고 했다.

나 변호사는 이번 총선을 유권자와 후보자 그리고 언론의 입장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유권자 입장에서 나 변호사는 "정치 혐오증이 극에 달한 만큼 낮은 투표율이 예상되므로 유권자를 선거의 현장으로 돌아오도록 돕는 역할을 언론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후보자는 부패와의 절연을 각오해야 하며 고해성사라도 하는 자세로 유권자에게 다가서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했다.

임 부장은 "참신성만 강조하고 전문성만 부각되다 보니까 경제문제가 최대 이슈가 돼야 함에도 뒤로 밀려나는 분위기가 있어 안타깝다"며 "지역의 경제 문제에 대해 방향을 설정하고 시민과 유권자들의 관심도를 제고시키는 데 언론이 도움을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각 정당의 총선 공약 설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지역 경제 현안의 추진 일정을 앞당기고 지역 여론을 하나로 묶는 효과를 발휘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하 교수는 신문의 사회적 의제 설정(Agenda Setting) 능력이 약화된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미래의 사회 변화 추세와 개혁의 방향 등에 대한 신문의 역할 축소를 우려했다.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 나가는 향도와 계도 역할이 아쉽다고 했다.

임 부장은 "사람도 보지 않고 무작정 번호만 보고 투표하는 '묻지마 투표'를 지양하기 위해서도 후보자의 정치적 성향과 인물 개개인에 대한 보도의 비중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극에 달한 정치 불신으로 낮아질 투표율을 모두 걱정했다.

조 처장은 또 언론이 총선의 쟁점과 이슈를 만들어 무관심한 유권자들이 투표장으로 가야할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임 부장도 투표율을 높이는 것이 이번 총선에서 언론이 해야 할 가장 큰 임무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용카드 복권제' 같은 방안이라도 있으면 도입해서라도 투표율을 높이는 것이 정치개혁을 앞당기는 지름길일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올 정도였다.

그만큼 낮은 투표율을 걱정하는 분위기였다.

이동관기자 llddk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