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과수,'대구 지하철 참사' 백서 발간

국립과학수사연구소가 지난해 대구지하철 참사 당시의 시신 발굴 및 신원확인작업 등 참사 수습과정을 담은 '대구지하철참사-대량재해와 집단사망자 관리' 백서를 10일 발간했다.

이 백서는 대구지하철 참사를 비롯 지난 50년간 국과수가 다뤘던 각종 대형 재난 사례를 망라한 것으로, 대형 재난에 따른 집단사망자 관리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종합한 '전문 백서'.

'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의 개인 식별' '발굴결과 및 사례' '시신발굴 및 복원에 대한 법의인류학 소견' '유전자 분석 보고' '법의치과학 감정' '유류품 수습 및 복원' '이공학 분야' 등 9편을 340쪽에 담았다.

일반에 공개되지않은 많은 화보와 도표도 싣고 있으며 유해 한 구, 유류품 한 점으로부터 희생자의 신원이 확인되기까지의 전 과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속옷, 탄화(炭化)된 편지, 심장수술한 흔적, 틀니 등 참사 현장에서 발견된 단서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석기법을 동원, 희생자들의 신원을 확인한 사례도 찾을 수 있다. 또 지하철 전동차안에 있던 시신이 외부 병원으로 이동될 때 신체 일부가 전동차 내부에 남아 있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발견돼 신원확인이 가능했던 사례도 실려있다.

대구지하철 참사 집단사망자관리단 총괄팀장을 맡았던 정낙은 법의관은 "각종 대형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집단사망자 처리를 담당하는 상설 기관이 없고, 유사한 문제들이 반복되는 등 안타까움이 많았다"며 "이번 백서는 기존의 참사수습과정에서 얻은 교훈을 참사 예방에 활용하자는 취지로 발간한 것"이라고 했다.

국과수는 지난해 2월18일부터 4월 2일까지 개인 식별과정을 진행, 희생자 136명의 신원을 확인했고 6구의 시신을 확인불능으로 판명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