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의 개통으로 국내선 항공편이 대폭 감축되는 대구국제공항이 올해 상반기중 국제 노선의 취항을 6개국 10여개 도시, 주 60회 운항으로 확충해 명실상부한 국제공항으로 새로운 도약기를 맞게 된다.
건교부는 23일 항공사들이 상반기중 대구공항에 취항하는 국제 노선을 현재의 2개국(중국.태국) 5개 도시에서 대만.일본.필리핀.괌 등 6개국 10여개 도시로 늘릴 예정이며, 일주일 동안의 취항 편수도 34편에서 60편 이상으로 증가한다고 밝혔다.
이는 현재 19개 도시에 주 134편의 국제선 항공기가 취항하는 김해 국제공항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다.
대구공항의 국제노선이 급증하게 된 것은 고속철 개통에 따른 국내선 감축으로 항공기 스케줄에 여유가 생긴데다 항공편으로 연결되던 인천공항의 접근성이 떨어지게 되면서 대구공항의 국제선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 때문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현재 상하이 노선의 탑승률이 50%에 불과하지만 주5일 근무가 확산되고 인천공항 이용의 불편이 커지면 수요가 대폭 늘 것으로 보고 있다"며 "예전에는 국제선 수요가 있어도 항공기가 부족했으나 국내선이 줄면서 항공기 여유가 생긴 것도 국제선 취항이 늘어나는 원인"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구공항의 국제노선은 우선 대한항공이 △오는 29일 대구-베이징 △다음달 3일 대구-옌타이 간 노선을 재개하며 아시아나 항공이 4월중으로 △대구-푸케트, 중국 국제항공이 △대구-베이징, 대만 유니에어웨어사가 △대구-카오슝 노선 취항에 나선다.
이와 함께 주 34회인 대구 공항의 국제선 운항횟수가 4월부터는 주 54회까지 늘어나게 된다.
또 대한항공은 오는 6월15일 대구-선양 노선 취항을 비롯 일본 도쿄.오사카.삿포로 노선과 필리핀 마닐라.괌 노선에 전세기 투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중국 국제항공은 대구-베이징, 중국남방항공은 대구-선양, 대만 원동항공은 대구-타이베이 간 노선 증편을 추진중에 있다.
특히 대구-베이징 노선은 지난 2001년부터 주 3회 전세기편으로 운항됐으나 이번에 정기 노선으로 확정되면서 안정적인 취항을 보장받고 연중 취항도 이뤄지게 됐다.
한윤조기자 cgdrea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