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하산 공천잡음을 낳았던 한나라당 이한구(李漢久) 후보가 지지율 정체를 면치못하고 있는데다 열린우리당 공천자가 뒤바뀌고, 민주당 조순형(趙舜衡) 대표가 출마하면서 선거전이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한나라당 이 후보는 최근 열린우리당 후보가 정병양(鄭柄亮) 변호사에서 김태일(金台鎰) 영남대교수로 교체됐지만 자체 여론조사결과 교체후보에게도 뒤질 정도로 나타나 고심하고 있다.
그러나 민주당 조 대표 출마라는 변수가 생겼기 때문에 승산이 없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나라당 이 후보는 공천후유증으로 인해 이 지역의 이원형(李源炯) 의원으로부터 전혀 지원을 받지못하고 있다.
종전 김만제(金滿堤) 의원의 조직 만으로 선거를 치르고 있으나 열린우리당 상승세를 꺾기에는 역부족이다.
최근 열린우리당의 후보가 교체됐는데도 지지율이 오르지 않자 주위에서는 후보 자신이 원래 경쟁력이 없지 않았느냐는 비판론이 일었다.
열린우리당 김 후보는 TV 등 언론 노출빈도가 높기 때문에 갑작스런 등장에도 인지도는 높은 편이다.
물론 열린우리당 상승세 때문이지만 교수에서 정치인으로의 변신에 빠르게 적응해가고 있다는 주위의 평이다.
그러나 이같은 열린우리당 상승세가 민주당 조 대표의 출마라는 복병을 만났다.
탄핵정국을 주도한 조 대표가 보수성이 강한 이 지역에서 기세를 올릴 경우 열린우리당에도 타격이 예상된다.
조 대표는 "대구 초선의원으로 지역발전과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의지를 내비쳤다.
무소속 박철언(朴哲彦) 후보는 양당 대결구도가 형성되면서 초반 상승세가 꺾였다.
무소속 희망연대를 통해 역전을 노리고 있어 막판 뒤집기가 성공할 지 여부가 주목된다.
민주노동당 이연재(李演宰) 후보는 대구에서 가장 많은 진성당원을 확보하고 있어 선전이 예상된다.
이 후보는 "열린우리당을 견제할 수 있는 명분과 자격을 갖춘 야당은 민노당 밖에 없다"며 파고들고 있다.
자민련에서는 총재특보인 신우섭(申雨燮) 후보가 출마했지만 인지도가 낮아 큰 주목은 못끌고 있다.
무소속 박흥우(朴興宇) 후보도 표밭을 갈고 있다.
이상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