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권 탄핵 철회론 확산 내부균열 가속

'탄핵철회'를 둘러싼 야권의 내홍이 심화되고 있다.

총선에서 전멸하지 않으려면 탄핵을 철회해야 한다는 소장파들과 정면돌파론을 고수하고 있는 지도부간의 균열이 갈수록 커지면서 "이대로 가면 자멸한다"는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은 수도권 출마자 27명이 공식 제기한 탄핵철회론에 홍준표(洪準杓) 의원과 전재희(全在姬) 의원 등 수도권 초.재선 의원들이 가세하면서 탄핵철회론이 만만치 않은 세를 형성해가고 있다.

전 의원은 22일 상임운영위원회에서 "민의를 살펴 방법론을 수정한다고 해서 원칙을 훼손하는 것으로 폄하해서는 안된다"며 여론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것을 주장했다.

홍 의원도 "노 대통령과 국회가 동시에 대국민사과를 한 뒤 탄핵을 해소하는 정치적 타결을 모색해야 한다"며 '조건부 탄핵철회론'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최병렬(崔秉烈) 대표는 "아무리 어렵더라도 분명한 원칙과 신념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옳다"며 정면돌파론을 거듭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수도권 출마자 20여명은 23일 선출될 새 대표에게 탄핵철회를 공식 건의할 방침이어서 새 대표가 어떤 정치적 결단을 내릴지 관심거리다.

그러나 지도부와 김문수(金文洙) 의원을 제외한 당권 주자 모두가 반대하는데다 영남권 의원들 역시 같은 입장이어서 한나라당이 탄핵철회로 돌아설 가능성은 현재로선 낮아 보인다.

서울.수도권과 영남권 의원들이 느끼는 총선 정국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차이가 너무 크다는 점에서 한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때문에 철회론을 주장하는 소장파 등 수도권 인사들이 당론과 다른 행동에 나설 가능성도 적지 않다.

민주당도 22일 설훈(薛勳) 의원이 의원회관에서 삭발 단식농성에 돌입하며 탄핵철회와 지도부 사퇴를 촉구하고 나서는 등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설 의원은 "국민의 뜻을 거스른 탄핵은 당장 철회돼야 하고,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내가 가진 모든 것을 다 버릴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총선 불출마 가능성도 있다.

이에 정범구(鄭範九) 의원이 동조하고 나섰고, 이낙연(李洛淵).김성순(金聖順) 의원도 노 대통령의 사과를 전제로 탄핵철회를 검토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조순형(趙舜衡) 대표 등 지도부는 "총선에서 심판받고 책임지면 된다"며 정면돌파를 선언했다.

김경재(金景梓) 의원도 "탄핵을 반대하려면 차라리 탈당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정경훈기자 jgh0316@imaeil.com (사진설명)23일 오전 여의도 한나라당사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이상득 사무총장과 이강두 정책위 의장 등이 참석 전당대회일정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김영욱기자 mirage@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