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修能시험 관리 '총체적 부실'

복수정답이 인정되는 등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2003.2004학년도 수학능력시험에 대한 감사원 특감 결과 30명의 출제위원.검토위원이 부적격자였다니 한심하기 짝이 없다.

그간 주먹구구식으로 관리돼 왔음이 확인된 셈이지만,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무엇을 관리해 왔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출제위원 선정, 출제.문제지 인쇄, 채점과 성적 통지, 시험 보안관리 등 주요 사항에서 요구되는 관리 규정 하나 없었다니 도대체 말이나 되는가. 한마디로 관리자들의 감시 체제가 전혀 작동하지 않은 총체적 부실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더구나 수능 응시생 자녀를 둔 대학교수 5명이 출제위원이었다는 데는 기가 찰 따름이다.

수험생의 학부모가 출제를 했으니 수험생들이나 학부모들의 심정은 어떠하겠는가. 기준과 절차도 없으며 '인력풀' 제도도 없어 개별 연고에 따라 위원들이 선정됐고, 자격 미달자가 추천돼도 추천심사위원회는 회의마저 열지 않은 채 그대로 통과시킨 결과다.

이렇다 보니 부적격 위원 외에도 서울대 출신이 58%를 차지하고, 고교 교사 중에는 93%가 수도권 출신이 독식하는가 하면, 수능 마피아가 학원가와 특정 인맥에 연계돼 있다는 의혹까지 낳기도 했다.

현실적으로 수능은 한 사람의 일생을 좌우하는 사생결단의 시험일 수밖에 없다.

고교까지의 학업 성과를 이 시험 하나로 평가를 받기 때문에 모든 수험생과 학부모들은 1, 2점에 울고 웃는다.

우리 사회의 학벌지상주의가 사라지지 않는 한 현행 대입제도는 존속된다면 시스템이라도 제대로 갖춰 시험의 공신력에 금이 가는 일은 없어야 한다.

감사원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직원 8명의 징계를 요구했다지만, 당국은 이들을 엄중하게 문책해야 한다.

수능 관리체계를 땜질식으로 수정하는데 그치지 말고 전면적인 쇄신안도 마련해야 한다.

수능시험 관리가 이렇게 썩고 있었는데도 뒷짐만 져왔던 총리실과 교육부 등 지도.감독기관에도 책임을 물어야만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